|
|
|
[잠실=스포츠조선 권인하 기자]"열정이 많은 선수인데…."
특히 LG전에 약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메이저리그 진출 전까지 LG전서 20승12패 평균자책점 3.10의 좋은 성적을 보였던 김광현은 미국에서 돌아온 2022년 이후엔 11경기서 2승4패 평균자책점 7.24로 좋지 않다. 올시즌은 4경기서 3패에 평균자책점 11.50으로 상대 성적 중 가장 안좋다.
5월 9일 잠실 경기가 가장 좋았다. 6⅓이닝 동안 3안타 3볼넷 6탈삼진 3실점의 퀄리티스타트를 기록. 하지만 이날도 타선의 지원을 받지 못해 팀이 1대3으로 패하면서 김광현도 패전 투수가 됐었다.
김광현의 부진을 보는게 남다를 수밖에 없다.
염 감독은 "마음이 안좋더라. 같이 해봐서 아는데 엄청 열정이 많은 선수다"라며 옛 제자이자 국가대표 에이스가 무너지는 모습에 안타까움을 표시했다.
염 감독은 김광현이 LG전에 부진한 이유를 묻자 "우리가 (김)광현이를 잡는다기 보다는 광현이가 실투가 많아진 거라고 봐야할 것 같다. 제구가 될 때 잘던진 적도 있었다. 제구가 되는 날과 안되는 날의 차이가 있다"고 했다.
이어 "예전엔 힘이 있었으니까 제구가 안돼도 버티는데 지금은 힘이 떨어지니 제구력이 안되는 날엔 우리 팀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힘들어지는 것 같다"라고 했다.
김광현은 150㎞가 넘는 빠른 직구와 떨어지는 슬라이더 투피치로 한시대를 풍미한 투수였다. 워낙 직구의 힘이 좋았기 때문에 선발임에도 2가지 구종으로도 충분히 KBO리그는 물론 국제무대도 평정할 수 있었다.
여러 시즌이 흐르면서 조금씩 구종 다변화에 대한 필요성이 생기고 특히 메이저리그 진출을 위해서는 꼭 필요하게 됐고, 이후 김광현은 스플리터와 커브를 장착해 메이저리그에서도 성공적인 피칭을 할 수 있었다.
김광현의 이날 직구 최고 구속은 148㎞였으나 평균 구속은 140㎞였다. 73개의 투구 중 직구 28개, 슬라이더 22개, 커브 13개, 스플리터 10개 등을 뿌렸다.
SSG 랜더스의 이숭용 감독도 직구 구위가 예전과 같지 않은 과도기로 보고 변화가 필요한 시점임을 개인적인 의견으로 밝히기도 했다.
김광현의 직구 구위가 예전보다 떨어졌다는 것이 공통된 의견. 김광현이 해결해야 할 숙제다.
잠실=권인하 기자 indyk@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