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스포츠조선 김영록 기자] "(정)현수는 좀 더 길게 가져가도 된다. 2이닝도 갈 수 있는 투수다. 다만 올해 많이 나왔다."
현재까지 두자릿수 경기에 등판한 투수 수는 총 16명. 팀당 16~19경기를 소화한 시점에 롯데와 두산은 가장 많은 19경기, KT는 17경기를 소화했다.
그렇다해도 16명 중 5명(정현수 정철원 박진 김상수 송재영)이 롯데 소속인 점은 우려스러운 지점이다. 필승조 정철원에 가려져 있을 뿐, 다른 불펜들의 피로도도 만만치 않다.
|
하지만 불펜투수의 몸 상태는 단순히 투구 수만으로 판단할 순 없다. 투수는 140㎞를 넘나드는 직구를 자연스러운 물리적 가동범위를 넘어 빠르게 뿌려야한다. 때문에 충분한 몸풀기를 통해 워밍업을 하고, 관절 가동이 이뤄져야 프로다운 공을 던질 수 있다. 선발투수만큼 긴 이닝, 많은 공을 던지진 않지만, 비시즌 내내, 또 등판에 앞서 몸을 풀며 준비해야하는 건 불펜 투수도 마찬가지다.
불펜투수의 연투를 가급적 피하는 이유다. 3연투만 돼도 화들짝 놀라며 '투혼' 이야기가 나오는 게 요즘 야구계 일반 정서다.
최근 두산 김호준의 4연투에 대해 팬들이 벌집 쑤신 것 마냥 분노를 터뜨렸다. 선수의 건강을 바라는 마음이 크기 때문이다.
좋은 투수를 오래 쓰고 싶은 것은 사령탑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눈 앞의 승리를 놓치고 싶지 않은 또 다른 마음이 충돌한다.
'여기까지만 버텨주면' 하는 마음에 기다려도 보지만, 그러다 다른 투수들이 더 힘들어질 수도 있다. 그렇다고 '안되겠다' 싶어 바꾸는 일이 잦아지는 것도 부담이다. 야구 감독의 선택이 힘든 이유다.
롯데는 지금 정철원을 보좌할 또 다른 필승조 발굴에 힘을 쏟고 있다.
아직까지 존재감을 보여준 선수는 박진 정도다. 베테랑 구승민이나 한현희의 컨디션이 빨리 올라와줘야 사령탑의 걱정이 덜어질텐데, 현 시점에선 쉽지 않다. 그러다보니 여러명의 투수를 기용해 이닝을 메꾸면서 승부를 거는 일이 늘어나고 있다.
|
하지만 사령탑 역시 정현수에게 쌓이고 있는 피로에 대해 잘 알고 있다. 그는 "올해 많이 던지고 있다보니 가능하면 짧게 끊어주고 있다. 상황을 지켜봐야한다"고 조심스럽게 답했다.
피로를 잘 관리해 부상만 당하지 않고 넘길 수 있다면 어쩌면 정현수에겐 제대로 된 기회일 수 있다. 일단 사령탑에게 눈도장은 제대로 찍었다. 이제 한단계 올라서는 일만 남았다,
김영록 기자 lunarfly@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