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야흐로 모바일게임의 전성시대다. 모든 게임사들이 모바일게임에 집중하고 사업의 중심이 모바일로 이동하면서 하루가 다르게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
여기에 게임사의 선택이 한쪽으로 쏠리며 문제는 커지고 있다. PC 기반으로 게임 산업이 이어질 당시만 해도 각 게임사들은 나름의 공략 세대와 비즈니스 모델과 관련된 수위 조절이 있었다. 하지만 모바일로 넘어오면서 대다수의 게임사들이 비즈니스 모델에 집중한 게임을 선택하는 경우가 늘어났다.
|
시장 전체로 봤을 때 모바일 시장의 꾸준한 확장, 매출의 상승 등 지표는 매우 긍정적이다. 하지만 게임의 본질과 미래가치를 추구해야 되는 게임 기업의 입장에서 보면 현 상황은 심각하다. 10년전 PC 게임을 즐겼던 청년들이 모바일로 이동해 무서운 소비력을 보여주고 있지만 앞으로 10년 뒤에 지금의 세대가 마찬가지로 똑같은 소비 패턴을 보여주리란 보장은 없다.
해외 시장과의 격차 역시 벌어지며 국내 게임 산업을 위태롭게 만들고 있다. 해외에서는 싱글과 멀티플레이가 조화를 이루는 게임이 출시되고 있는데 국내는 유독 내수용 게임이 많다. 언제부터인가 해외에서 좋은 성과를 내고 있다는 국내 게임 소식도 부쩍 줄어들었다.
그렇다고 게임사가 당장 방향성을 수정하기란 더욱 어렵다. 주된 수익을 포기하고 미래를 바라보기에는 현재의 상황이 너무 치열하고 힘들기 때문이다.
필요와 수요가 있으면 시장은 생겨나고 변화의 바람이 불 수 있다. 현재 많은 모바일 유저들이 신선하고 밸런스가 갖춰진 게임의 출시를 원하는 만큼 변화의 분위기는 다소 빠르게 만들어 질 수 있다.
소녀전선, 야생의땅 듀랑고, 검은사막 모바일 등이 새로운 과금모델을 선택하면서 유저들의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다. 과금요소가 없는 것이 아니고 100% 새롭다고 할 순 없지만 확실히 개발사에도 변화의 움직임이 찾아오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유저들의 눈에는 아직 부족하고 대격변에 가까운 변화를 기대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매출 중심의 모바일 시장이 한번에 180도 변화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지만 유저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함께하는 움직임이 많아진다면 게임사도 현재의 방향성을 계속 유지하기는 쉽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게임인사이트 김도아 기자 press@gameinsigh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