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깃불이 들어온 거리에는 전차가 다니고, 일반인도 궁중요리를 맛볼 수 있다. 곳곳에 병원과 신문사와 여학교가 세워지고, 백정과 기생들도 서양인의 교회에 다닌다. 열강의 각축장이 된 암울한 현실 속에서 독립과 자주를 외치지만 신문물은 거침없이 쏟아지는 곳, 한성의 풍경이다. 이 책은 드라마 '미스터 션사인'의 시간적, 공간적 배경인 20세기 초 옛 서울의 모습을 보여준다. 개화와 근대화라는 격변 시대의 문화상을 이해할 수 있다.
1부 '근대국가로의 시대적 요구'에서는, 고종의 근대화 프로젝트 중 하나인 전기, 전화, 전차를 시작으로 서양의학, 중등교육, 언론(신문), 여성교육 등 근대국가와 근대사회의 체제를 갖추어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당시의 시대상뿐 아니라 조선의 제도와 비교하여 어떻게 다르고 새로운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어떻게 변모해가는지를 이야기하고 있어서 근대도시 한성의 모습을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갑신정변이 삼일천하로 끝나고, 청일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함으로써 조선은 더욱 위태로워졌다. 이에 고종은 구본신참 부국강병 자주독립을 꿈꿨고, 백성들도 신문물을 받아들이며 강해지고자 노력했다. 20세기 초 한성에서 볼 수 있는 개화와 근대화의 풍경은 열강의 압력도 있었지만 그에 맞서 자주독립을 위해 조선이 택한 길이었다는 것에 고개가 끄덕여진다.
2부 '개화와 근대화의 한성 풍경'에서는, 요릿집이 된 순화궁을 시작으로 용산이 남의 땅이 된 사연, 파계 득도한 근대 지성인 만해, 육의전이 몰락한 자리에 세워진 근대 유통시설인 백화점의 등장, 조선 최고의 학촌 등 대화와 근대화의 한성 풍경을 담은 흥미로운 이야깃거리를 소개한다.
'태화관 길'에서는, 기생이 시중드는 요릿집에서 3·1독립선언을 했다고 논란이 된 태화관이 원래는 궁궐이었다가 이완용의 별장으로 쓰였다는 사실을 말한다. 또한 당시 기생은 지금의 만능 엔터테이너 아이돌이었다는 것을 설명한다. '백화점 길'에서는, 조선 최고의 상권 육의전이 왜 몰락하게 되었는지, 그 자리에 최초의 근대적 민족 백화점이 들어서서 일본 백화점들과 어떻게 경쟁하게 되었는지 이야기한다. '대학로 길'에서는 조선의 대학로 반촌 이야기를 하면서 일제가 왜 대학로에 경성제국대학을 세웠고, 김창숙은 왜 목숨 걸고 성균관을 지켰는지 이야기한다.
격동의 시대 한성에는 미국 선교사들이 세운 학교와 병원과 교회에서 근대정신이 싹텄고, 서구 문물과 제도의 도입으로 사회 다방면에서 큰 변화가 일어났다. 대한제국을 전후한 개화와 근대화의 한성 풍경을 담은 이 책을 통해 당시 사회상과 근대화 초기 역사를 살펴볼 수 있다.
김형중 기자 telos21@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