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칸(프랑스)=스포츠조선 조지영 기자] 봉준호(50) 감독이 배우 김혜자(78)에 대한 존경과 애정을 전했다.
봉준호 감독 특유의 블랙 코미디가 잘 살려있으며 한국 사회 현실의 문제를 꿰뚫는 날카로운 메시지 또한 신랄하게 담겨있는 '기생충'. 영화가 시작된 초반부터 엔딩크레딧이 올라가는 순간까지 단 1초도 흔들리지 않고 무섭게 몰아치는 전개로 전 세계를 사로잡았다. 관객은 봉준호 감독이 던진 위트에 박장대소했고 또 생각지도 못한 반전에서는 숨을 죽였다. 모두가 '기생충'이 상영되는 내내 웃고 울으며 온전히 영화 속에 매료된 칸의 뜨거운 밤이었다.
실제로 '기생충'은 상영관 불이 켜지기 전부터 1분 여간 박수가 지속됐고 이후 엔딩크레딧이 올라가고 불이 켜진 뒤에는 7분간의 기립 박수로 폭발적인 찬사를 한몸에 받았다. 무려 8분간 쏟아진 관객들의 뜨거운 환호를 받았고 공식 상영 이후 외신 및 영화 관계자들은 "한동안 이렇게 대담하면서 참신한 영화를 보지 못했다. 칸영화제에서 이렇게 많이 웃고 긴장시키는 영화는 정말 오랜만이다" "기생충'은 매우 재미있고 자극적이며 아름답게 만들어졌으며 보편적으로 깊이 울리는 영화" "'기생충'은 봉준호 감독 최고의 작품이다" "'기생충'은 봉준호 스스로가 하나의 장르가 됐음을 증명한다" 등 연일 호평이 쏟아지고 있다.
|
그는 "그런데 '마더' 이후 어느덧 10주년이 됐다. 김혜자 선생님을 주인공으로 한 작품을 계속 머릿속에 구상 중이다. 스토리라인 중 후반부가 여러 생각이 바뀌기도 하고 막히기도 했다. 그래서 계속 밀렸다. 몇 주전 김혜자 선생님을 봤을 때 차기작 이야기를 나한테 하지 않았지만 괜히 내가 먼저 죄송하더라. 김혜자 선생님과 또 한 번 작품을 하고 싶다. 여전히 에너지가 넘치더라. 연세가 상당한데도 여전히 소녀의 기운을 막 뿜어낸다"고 답했다.
무엇보다 봉준호 감독은 김혜자의 눈을 최고의 매력 포인트로 꼽았다. 그는 "'마더'를 통해 김혜자 선생님을 많이, 가까이 봤는데 눈이 정말 신기하다. 부드러운 안광이 나온다. 옛날에 순정만화를 보면 여주인공 눈 속에 우주, 갤럭시가 있지 않나? 그것의 실사 버전을 보는 기분이다. 김혜자 선생님의 얼굴에서 차지하는 눈의 면적이 정말 크다. 찍다보면 계속 나도 모르게 다가가게 된다. '마더' 때 김혜자 선생님을 자꾸 가까이 찍으니까 눈동자에 촬영 감독이 비치더라. 나중에 CG로 지우기도 했다"고 웃었다.
올해 칸영화제는 14일부터 25일까지 프랑스 남부에 위치한 칸에서 열리며 개막작으로 짐 자무쉬 감독의 '더 데드 돈트 다이'가, 마지막 상영작(올해부터 폐막작 대신 마지막 상영작으로 표기)은 올리비에르 나카체·에릭 토레다노 감독의 '더 스페셜스'가 선정됐다. 한국영화 진출작으로는 경쟁 부문에 '기생충', 미드나잇 스크리닝(비경쟁 부문)에 '악인전', 시네파운데이션(학생 경쟁) 부문에 '령희'(연제광 감독), 감독주간에 단편 애니메이션 '움직임의 사전'(정다희 감독) 등이 칸영화제를 통해 소개된다.
칸(프랑스)=조지영 기자 soulhn1220@sportschos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