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넷플릭스 김민영 총괄 "韓콘텐츠 유입 덕 가입자 상승..확신 섰다"

문지연 기자

기사입력 2021-02-25 14:08


사진=넷플릭스 제공

[스포츠조선 문지연 기자] 넷플릭스 김민영 아시아 총괄이 한국 콘텐츠의 위상을 언급했다.

세계적 OTT(동영상 스트리밍) 플랫폼 넷플릭스(Netflix)는 25일 '콘텐츠 로드쇼 See What's Next Korea 2021'을 온라인 생중계로 진행하고 2021년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될 한국 오리지널 콘텐츠들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짐과 동시에 "한해간 5천50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선언해 190여개국의 시청자들을 설레게 했다.

김민영 아시아 총괄은 이날 온라인 화상 기자간담회를 추가로 갖고 향후 넷플릭스의 방향성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넷플릭스에서 평가하는 한국 콘텐츠의 위상은 어느 정도일까. 김민영 총괄은 "한국 콘텐츠가 아시아에서의 성장을 견인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라는 것은 회사도 전반적으로 많이 갖고 있었다. 저희 서비스 안에 초반엔 한국 콘텐츠가 다양하지 않았고, 외부에서 볼 때는 한국 콘텐츠가 중요한데 보이지 않았다. 그런데 저희가 '화유기', '밥누나', '미스터션샤인' 등이 들어오면서 시그널이 명확해지기 시작했고, 한국 콘텐츠로 인해 한국 콘텐츠를 좋아하는 아시아의 시청자들이 넷플릭스로 유입되며 가입 가구가 상승하기 시작했다. 점점 더 한국 콘텐츠에 대한 확신이 선 거 같다"고 했다.

이어 "그러면서 '킹덤'이나 '인간수업', '사랑의 불시착', ''살아있다', '승리호' 같은 작품으로 인해 기존의 팬들뿐만 아니라 한국 콘텐츠를 본적 없던 시청자들도 즐기기 시작했다는 것을 알게 됐고, 4분기 실적 발표 때 28일 만에 2200만 가구가 시청했다는 수치를 발표하기도 했는데, 그만큼 커졌고 일시적 유행 현상을 넘어서서 글로벌 대중문화의 한 장르로 자리를 잡은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밝혔다.

김 총괄은 "한국은 두 가지 관점으로 항상 얘기한다. 첫 번째는 마켓으로서, 시장으로서 한국을 보면 한국의 시청자들은 문화적 교양을 쌓고 감상하는데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고, 인터넷 보급률도 높은 편이다. 이 시장에서 성공하고 시청자 분들에게 다각가기 위해서는 한국 콘텐츠가 중요하다는 것을 점점 더 많이 깨닫고 있다. 한국 콘텐츠가 한국 시장에서 너무 중요하다. 한국을 생각할 때는 한국 콘텐츠, 시장을 벗어나서 한국 콘텐츠를 바라보는, 저희가 알아야 하는 것이 있는 게 있는 거 같다. 한국 콘텐츠는 아시아 전반적 성장에 중요하다. 그래서 저희가 지속적으로 봤던 시그널을 통해 확신을 조금씩 더 갖고 2016년부터 2020년까지 7천700억원을 투자할 수 있었고, 2021년 한 해동안 5천500억이라는 금액을 투자하는 결정을 내리는 계기가 됐다"고 설명했다.

최근 한국 오리지널 콘텐츠를 위한 장기적 제작 기반을 다지기 위해 경기도 파주시 및 연천군에 있는 콘텐츠 스튜디오와 다년에 걸친 임대계약을 체결하기까지 한 넷플릭스는 2021년에도 공격적인 한국시장 공략에 나선다. 지난해 '스위트홈'과 '킹덤2'로 재미를 보고, 올해 영화 '승리호'를 독점 공개하며 K-콘텐츠 열풍에 힘을 실은 넷플릭스는 올해도 '오징어게임'부터 '마이네임', '고요의 바다', '지금 우리 학교는', 'D.P. 개의 날', '무브 투 헤븐', '킹덤 : 아신전', '좋아하면 울리는 시즌2', '내일 지구가 망해버렸으면 좋겠어' 등의 공개를 앞두고 있다.

또한 예능 프로그램인 백종원의 '백스피릿'과 이수근의 스탠드업 코미디 '이수근의 눈치코치'도 공개한다.

문지연 기자 lunamoon@sportschosun.com


▶2021 신축년(辛丑年) 신년 운세 보러가기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