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문지연 기자] 배우 강형석에게 '갯마을 차차차'와 공진은 '힐링'이었다.
촬영이 종료된 이후 '갯마을 차차차'를 회상하기 위해 12일 스포츠조선과 만난 그는 "올해 드라마 '갯마을 차차차'와 '인간실격'을 동시에 보여드리면서 개인적으로도 그렇고 배우 강형석으로서도 큰 밑거름이 된 한해가 된 거 같다. 사랑을 많이 주셔서 그런 것을 많이 느낄 수 있는 시간이었고 행복했다"며 밝게 웃었다.
포항에서의 촬영은 특히나 행복했다. 서울과 멀리 떨어져 있어 촬영을 위해 이동하는 길은 고단했지만, 공진이라는 도시에서 모여 살아가는 '공진 사람들'의 일원이 될 수 있었다는 사실만으로도 힐링이 됐다는 그다. 강형석은 "사람들 자체가 너무 좋았다. 드라마가 심각한 사건을 다루는 게 아니고 마을 사람들끼리 소소한 이야기, 따뜻한 행복에 대한 이야기를 하다 보니 현장이 유쾌하고 편안했다. 스태프들이 신경을 많이 써줬고, 현장을 유쾌하게 만들어줬다. 작가님도 인물 하나 하나에 애정을 갖고 있다는 것을 느껴서 감사했다. 이런 새로운 것들이 많은 분들이 '갯차'를 좋아해주실 수 있는 이유가 되지 않았나 싶다"고 했다.
|
전작의 이미지를 지우고 선역으로 강형석을 캐스팅한 유제원 감독의 선택도 옳았다. 강형석은 "순수하고 마음 예쁘고, 착한 청년이라 가장 해보고 싶었던 이유이기도 했다. 닮고 싶은 점이 많았고, 이상적인 면이 많아서 바보 같고 답답하다고도 할 수 있지만, 절대 흔들리지 않는 단단함이 있는 사람이라고 해서 그게 좋았다.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점은 은철이를 하며 단순히 바보 같아 보이면 안 된다고 생각했고, 은철이의 매력을 '설렘'으로 보여주겠다는 생각이 있었다. 첫 데이트, 첫 뽀뽀, 첫 영화 같은 것들이 처음이라 투박하고 답답하고 바보 같은 면도 있지만, 처음이기에 설렐 수밖에 없던 것을 가장 중점적으로 생각하고 연기했다"고 설명했다.
선배 배우들의 도움도 많이 받았다. 상대 역이었던 공민정에 대해 강형석은 "인간적으로도 배우로서도 멋있는 사람이라 배울 점이 많았다"며 "저렇게 하고 싶다고 생각한 부분이 참 많았다. 센스있고 유연한 사람이라 그런 점들도 부러웠다"고 했다. 특히 이번 촬영장에서는 대선배 배우들과 함께 호흡을 맞추며 배워가는 점도 많았다는 그. 강형석은 "저는 이번에 앞으로 적극적으로 다가가야 선배님들이 더 좋아하실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 전에는 괜히 불편해하시지 않을까 싶어서 다가가지 못한 경우가 있었는데, 이번에는 생각이 바뀌었다. 우리 공진 선배님들 벌써 그립다"며 아쉬운 마음을 드러냈다.
|
같은 소속사 식구였던 신민아와 김우빈 역시 강형석에게 큰 도움을 주는 선배들. 강형석은 "신민아 누나와는 작품을 하면서 더 친해지게 됐다. 현장에서는 존재 자체만으로도 든든한 마음이 있었다. 표현을 하지 못했지만, 누나가 있으니 든든하다는 마음이 있었고, 이런 저런 고민도 많이 들어주면서 작품에 대해 얘기도 나눴고, 옆에서 누나가 어떻게 연기를 준비하고 작품을 대하는지를 보면서 '진짜 그냥은 없구나' 하는 생각을 많이 했었다. 사람을 대하는 태도도 저에게 해주시는 것들도 개인적으로 전부 좋았다"고 했다. SNS에 댓글을 남겨줬던 김우빈도 든든한 형. 강형석은 "평소에도 문득 전화가 와서 '잘하고 있느냐. 어려운 거 없느냐'고 물어봐주고, 어려운 점들에 도움을 주시려고 노력한다. 굉장히 많이 잘 챙겨주시는데, 댓글을 단 것도 유머러스한 표현이었다고 생각해서 개인적으로는 더 고맙고 감사하게 느껴진다. 평소에도 많이 챙겨주셔서 든든하다"고 말했다.
|
연기를 시작한 뒤 자연스럽게 자신의 길을 걸어왔다는 강형석은 '갯마을 차차차' 이후 달라진 주변의 시선으로 인해 연기에 대한 '맛'을 더 느껴가는 중. 그는 "새로 미팅을 하게 되면 그전에 제가 쌓았던 것들이 적었다 보니 처음부터 제가 보여드리는 것으로 시작을 했어야 했는데, 이제는 드라마라는 결과물이 남았고, 영상물이 남아서 얘기거리가 더 생긴 느낌이다. 저의 연기에 대해 얘기할 수 있고, 피드백을 들을 수 있다는 점들이 좋고, 확실히 더 주의 깊게 봐주시는 거 같다. 작품을 보고 연락주신 분들이 계시는데, 작품 후 달라진 점은 '강형석'이라는 이름을 조금은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됐다는 것"이라며 "앞으로 책임감을 가져야 하고, 더 좋은 모습을 보여드려야 한다고 생각하니 부담이 되지만, 앞으로 30대가 더 기대가 된다"며 앞으로 활동에 대한 기대감도 드러냈다.
문지연 기자 lunamoon@sportschosun.com
▶2022 임인년 신년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