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크래프톤이 NFT(대체 불가능 토큰) 게임과 웹 3.0 등을 활용한 새로운 미래 먹거리 창출에 나선다.
27일 크래프톤은 매달 진행하는 정기 사내 소통 프로그램인 '크래프톤 라이브 토크(이하 KLT)'에서 '2022년 크래프톤이 나아갈 방향'을 구성원들에게 제시했다.
이 자리에서 김창한 크래프톤 대표는 '경쟁 우위에 있는 상황에서 도전'과 '새로운 영역에서 도전'을 함께 만들어 가자는 방향성을 강조했다. 김 대표는 "기존에 출시한 게임의 라이브 서비스 효율을 증대하고 퍼블리싱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경쟁 우위를 굳혀가자"고 말했다. 또 "코어 팬 층을 공략할 수 있는 신작 개발에도 집중해 새로운 게임 IP를 만들기 위한 도전을 이어갈 것"이라며 지난해 인수한 언노운 월즈의 신작 '프로젝트 M'과 스트라이킹 디스턴스 스튜디오의 '칼리스토 프로토콜' 등 2022년 공개 예정이거나 개발 중인 다양한 프로젝트를 내부에 소개했다.
이어 크래프톤이 가진 게임 제작 역량을 새롭게 확장할 수 있는 영역이자 새로운 도전을 지속하는 분야로 딥러닝, 버추얼 휴먼(가상 인간), VR, NFT/웹 3.0 등을 제시했다. 김 대표는 "게이머와 크리에이터들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고 차별화된 콘텐츠를 만들어 내는 데에 새로운 기술을 활용한다는 계획"이라며 "게임에 대한 즐거움과 도전을 지속하는 것을 전제로 다양한 확장 가능성을 모색할 것"이라며 신규 비즈니스의 가능성에 주목했다. 또 웹 3.0 및 NFT와 관련해 "웹 3.0은 창작자와 소비자들에게 더 많은 권한이 이동하는 생태계가 조성되어 C2E(Create to Earn)가 가속화되는 세상"이라며 "크래프톤은 월드, 상호작용, 즐거움을 만들어내는 게임사 본연의 역할과 강점에 집중하면서 크리에이터들이 확장성 있는 생태계 속에서 새로운 콘텐츠 창작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힘을 실어주고, 역량 있는 파트너들과 함께 도전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창한 대표는 "크래프톤은 지속가능한 강력한 IP를 가지고 있고, 이를 성장시키고 확장할 수 있는 역량과 더 오래 더 많은 도전을 할 수 있는 체력을 갖췄다"며 "게임이 가장 강력한 미디어가 될 것이라는 변함없는 믿음으로 계속 도전한다면 새로운 IP와 성장 동력을 발굴해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2022 임인년 신년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