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조지영 기자] 배우 전여빈(34)이 화제를 모았던 '중꺾그마(중요한 건 꺾여도 그냥 하는 마음)' 정신과 소감에 대해 해명했다.
전여빈은 지난달 열린 제44회 청룡영화상에서 여우조연상을 수상할 당시 "'거미집'을 상징하는 신조어는 '중꺾그마'다. 중요한 건 꺾여도 그냥 하는 마음이다. 마음이 믿음이 돼 실체가 없는 것이 실체가 될 수 있는 엔진이 될 수 있다. 누군가 자신의 길을 믿지 못하고 망설이고 있다면 믿어도 된다고 응원하고 싶다"며 자신만의 확고한 연기 철학을 담은 소감으로 보는 이들의 용기를 북돋웠다.
그는 "이 자리를 통해 오해를 풀고 싶다. 소감으로 '중꺾그마'를 이야기 한 바람에 몇몇 분은 내가 만든 신조어라고 생각하시는 것 같다. 원작자가 따로 있는데 오해가 될까 봐 걱정되는 마음도 크다"며 "이 신조어를 만든 분은 박명수 선생이다. 박명수 선생이 한 프로그램에서 '중꺾마'를 이야기 하다 '중요한 것은 꺾여도 그냥 하는 마음인 거야'라며 버럭했다고 하더라. 처음 그 이야기를 듣고 나 역시 머리가 띵해졌을 정도로 가슴에 와닿았다. 힘이 들더라도 내가 좋으면 하는 그 마음이 정말 중요하고 좋지 않나? 그게 MZ 세대 사이에서 밈이 됐고 '거미집' 무대인사를 하면서 '중꺾그마'라는 이야기를 많이 들어 우리도 사용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거미집' 무대인사 때만 해도 박명수 선생의 어록인 줄 모르고 요즘 MZ 세대 신조어인 줄만 알고 마구 썼던 것 같다. 박명수 선생께서 꽤 오래전에 '중꺾그마'를 이야기했는데 지금 생각해 보니 정말 몇 수 앞을 내다보는, 통찰력이 뛰어난 분이신 것 같다. 오해가 생길 것 같은데 '중꺾그마'는 단연코 박명수 선생이 원조다"며 "이런 좋은 단어를 알게 해줘 감사하다. 그만큼 요즘 꺾이고 좌절할 일이 많아 마음이 아팠다. 한편으로는 이런 말이 와닿을 정도로 현재 우리들은 굳은살을 길러야 할 일들이 많구나 싶어 마음이 애잔하기도 했다. 외로운 이들에게 소소한 위로를 전하고 싶어서 그 단어를 선택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조지영 기자 soulhn1220@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