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뮤지컬 팬덤 시초 '베르테르' 25주년, 12번째 시즌..N차 관람 부르는 이유

고재완 기자

영문보기

기사입력 2025-03-06 09:51


뮤지컬 팬덤 시초 '베르테르' 25주년, 12번째 시즌..N차 관람 부르…
2025년 뮤지컬 '베르테르'에서 베르테르 역을 맡은 양요섭, 엄기준(왼쪽부터), 김민석. 사진=CJ ENM

지난 1월 막을 올린 뮤지컬 '베르테르'(제작 CJ ENM·극단 갖가지) 25주년 공연이 오는 16일 폐막한다. 수많은 작품이 무대에 오르고 사라지는 가운데, '베르테르'는 2000년 초연 이후 변함없는 감동과 유려한 연출로 관객들의 발길을 사로잡아왔다. 5년 만에 돌아온 '베르테르' 25주년, 놓치지 말아야 할 이유는 무엇일까.

▶팬덤의 사랑이 만든 기적

'베르테르'는 독일 문학의 거장 요한 볼프강 폰 괴테의 소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을 원작으로, 한국적 감성을 녹여 새롭게 재창작한 창작 뮤지컬이다. 2000년 극단 갖가지가 기획·제작해 초연을 올린 이후, 2010년부터 극단 갖가지와 CJ ENM이 공동 제작으로 참여하며 꾸준히 재공연돼 왔다. 올해까지 총 열두번의 시즌을 이어온 '베르테르'는 세월이 더할수록 빛나는 클래식의 가치를 보여주며, 한국 창작 뮤지컬의 스테디셀러로서 진면목을 발휘하고 있다.

초연 당시 작품에 대한 마니아층이 형성되면서, '베사모(베르테르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라는 관객 커뮤니티가 자발적으로 결성될 정도로 열렬한 지지를 받았다. 특히 2002년에는 팬들이 자발적으로 모금 활동을 펼쳐 재공연을 성사시키며, '베사모'는 국내 창작 뮤지컬 팬덤의 원형을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뮤지컬 팬덤 시초 '베르테르' 25주년, 12번째 시즌..N차 관람 부르…
2000년 뮤지컬 '베르테르' 공연 장면. 롯데 역 이혜경, 알베르트 역 김법래, 베르테르 역 서영주.(왼쪽사진 왼쪽부터) 베르테르 역 서영주(왼쪽)와 출연배우들(오른쪽 사진). 사진=극단 갖가지
▶사람 키만 한 해바라기, 11인조 실내악 오케스트라

시대의 흐름 속에서 '베르테르'는 고전이 지닌 클래식한 정서를 유지하면서도, 음악·연출·무대미술 등의 요소를 매 시즌 정교하게 변화시켜 왔다. 2013년, 6년 만에 다시 연출을 맡은 조광화 연출가는 무대 배경을 '화훼산업도시'로 설정해 인위적인 아름다움과 베르테르의 뜨거운 감정을 극명하게 대비시키는 연출을 선보였다. 또한, 이때 조광화 연출가는 고흐의 마지막 순간과 영화 '해바라기'에 영감을 받아, 기존의 장미 대신 해바라기를 상징적인 꽃으로 바꾸며 작품의 정체성을 더욱 공고히 했다.

작품의 감성을 극대화하는 음악 역시 긴 시간에 걸쳐 정교하게 다듬어져 왔다. 초연 당시 피아노, 바이올린, 첼로, 오보에, 아코디언으로 구성된 5인조 편성으로 시작해, 이후 현악 중심의 실내악 편곡을 거치며 더욱 깊이 있는 선율을 완성했다. 현재는 지휘 및 피아노 1인과 현악기 10인으로 구성된 챔버 오케스트라가 웅장하면서도 섬세한 음악으로 관객들에게 깊은 울림을 선사하고 있다. 이렇게 끊임없이 변화와 성장을 거듭해온 '베르테르'는 25주년 공연을 통해 한층 완성도 높은 무대로 관객들을 만나고 있다.


뮤지컬 팬덤 시초 '베르테르' 25주년, 12번째 시즌..N차 관람 부르…
왼쪽 사진은 '베르테르' 포스터 모음. 2000초연(왼쪽 위), 2002년(오른쪽 위), 2007년(왼쪽 아래), 2025년(오른쪽 아래), 오른쪽 사진은 2025년 발간된 25주년 기념 브랜드북. 사진=극단 갖가지, CJ ENM
▶찐팬 PICK! '베르테르'의 명장면 & 킬링 넘버


'베르테르'를 향한 관객들의 깊고 뜨거운 애정은 25년 동안 작품이 이어져 온 가장 큰 원동력이다. 단순한 '비극적 사랑 이야기'에 머무르지 않고, 사랑을 통해 자신을 발견하고 변화하는 인간의 내면을 섬세하게 그려내며 깊은 감동을 선사해왔다. 이러한 작품의 힘은 무대 위에서 펼쳐지는 명장면과 가슴을 울리는 넘버를 통해 더욱 선명하게 드러난다.


뮤지컬 팬덤 시초 '베르테르' 25주년, 12번째 시즌..N차 관람 부르…
2025년 '베르테르' 공연 베르테르 역 엄기준(위)와 롯데 역 이지혜(아래).. 사진=CJ ENM
그 중에서도 2막 클라이맥스에 나오는 무대 위 해바라기들이 일제히 쓰러지는 장면은 많은 관객들의 입에 오르내리는 명장면이자, 가장 인상적인 순간으로 손꼽힌다. 밝고 따뜻한 해바라기의 색감과 베르테르의 비극적인 선택이 극명하게 대비되며 감정의 깊이를 극대화한다. 여기에 해바라기가 무너지는 순간의 소리까지 더해지며, 공연이 끝난 후에도 마치 발하임에 머문 듯한 깊은 여운을 남긴다. 한 관객은 "해바라기가 쓰러지는 순간 심장이 내려앉는 기분이었다. 공연이 끝난 후에도 그 장면이 머릿속을 맴돌았다"고 말하며, 이 장면이 전하는 강렬한 인상을 표현하기도 했다.

한 번 들으면 쉽게 귓가를 떠나지 넘버들도 '베르테르'의 서정성을 한층 더 깊고 풍성하게 만든다. 베르테르의 실연의 아픔을 오롯이 담은 '발길을 뗄 수 없으면'은 단연 가장 인상적인 넘버로 꼽힌다. 롯데를 향한 마음이 커져 차마 발길을 떼지 못하는 베르테르의 고통과 절망이 고스란히 녹아 있는 이 곡은 1막과 2막의 엔딩을 장식하며 작품의 감정선을 극적으로 끌어올린다. 이와 함께, 롯데와 가까워지는 설렘과 떨림을 담아낸 '우리는', 서로 다른 이에게 향한 기다림 속에 엇갈린 감정을 노래하는 '하룻밤이 천년' 역시 깊은 여운을 남기며 관객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오는 16일까지 서울 디큐브 링크아트센터에서 공연되는 25주년 공연은 오랜 시간을 기다려온 관객들의 N차 관람 열기를 불러일으키며, 여전히 유효한 작품의 힘을 증명하고 있다. 운명적인 첫 사랑에 빠지는 베르테르 역에는 엄기준, 양요섭, 김민석이, 베르테르의 해바라기 같은 순애보 사랑을 받는 롯데 역에는 전미도, 이지혜, 류인아가, 롯데의 약혼자 알베르트 역에는 박재윤, 임정모가, 베르테르의 곁에서 조언을 해주는 펍 여주인 오르카 역에는 류수화, 이영미가, 낭만적인 정원사 카인즈 역에는 김이담, 이봉준이 출연하고 있다.
고재완 기자 star77@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