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연합뉴스) 황재하 기자 = 제37회 정지용문학상에 허연(59) 시인의 시 '작약과 공터'가 선정됐다고 지용회가 15일 밝혔다.
"진저리가 날 만큼 / 벌어질 일은 반드시 벌어진다 // 작약은 피었다 // 갈비집 뒤편 숨은 공터 / 죽은 참새 사체 옆 // 나는 살아서 작약을 본다 // (중략) // 작약은 / 울먹거림 / 알아듣기 힘들지만 정확한 말"(시 '작약과 공터' 에서)
심사위원장인 이근배 시인(대한민국예술원 회원·전 원장)은 수상작에 대해 "'진저리가 날 만큼'으로 첫 글을 떼는 까닭이 '작약은 피었다' 한 행에서 나왔다"고 설명했다.
이어 "흘려버릴 수 있는 공간에서 '알아듣기 힘들지만 정확한 말'을 찾아서 작약과 나의 관계를 그 깊은 생성과 소멸을 고요 속에 함몰시키면서 마침내 살아있음의 눈부신 실존을 발견해낸다"고 해석했다.
1991년 '현대시세계' 신인상을 받으며 등단한 허연 시인은 1995년 첫 시집 '불온한 검은 피'를 발간했고, 이후 '내가 원하는 천사', '나쁜 소년이 서 있다', '오십 미터', '당신은 언제 노래가 되지' 등의 시집을 펴냈다.
현대문학상, 현대시작품상, 시작작품상, 한국출판학술상, 김종철문학상, 한국출판평론상 등을 받았다.
허연 시인은 "정지용이라는 훌륭한 이름과 제가 문학상이라는 인연으로 연결된 오늘을 잊지 못할 것 같다"며 "그것이 어떤 계시인지 어떤 의미인지 시를 쓰는 인생 내내 되새기고 또 되새기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1989년 시작한 정지용문학상은 매년 뛰어난 시 한 편을 선정해 수여한다. 정지용(1902∼1950) 시인의 고향인 충북 옥천군과 옥천문화원이 공동 주최하고 문인들로 구성된 지용회가 주관한다.
상금은 2천만원이며, 시상식은 5월 17일 정지용 생가와 옥천 구읍 일원에서 제38회 지용제와 함께 진행된다.
jaeh@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