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프로그램은 청년문화공간의 실질적 활성화를 위해 기획단 내부의 결속력을 높이고, 지역성과 청년성이 어우러진 새로운 커뮤니티 문화를 발굴하고자 마련했다. 시는 청년이 주도하는 공간 운영을 지향하며, 단원들이 각자의 콘텐츠를 직접 설계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커뮤니티 살롱은 총 4주간 매주 수요일 오후 7시에 호국로 1314에 위치한 청년문화공간을 중심으로, 청년센터 등 다양한 청년 거점에서 순차적으로 펼쳐진다. 프로그램은 ▲기획 역량 강화 ▲지역 사례 공유 ▲로컬 기획자 초청 강연▲참여자 간 상호 교류 등 다채로운 내용으로 구성했다.
2회차에서는 '재미있는 일은 어디에든 있다'를 주제로 의정부 지역 내 숨은 성공 사례를 소개한다. 참여자들은 대화 카드를 활용해 서로의 경험을 나누며, 청년 특유의 감각으로 지역 자원을 재해석하는 방식으로 대화를 확장하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3회차에서는 서울이 아닌 '로컬의 신'으로 주목받는 인천 개항로 프로젝트 사례를 탐구한다. 단원들에게 의정부만의 고유한 도시문화를 구상할 실마리를 제공하고자, '마계인천'의 이창길 대표가 구도심에서 청년과 장인, 소상공인이 함께 만들어낸 변화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마지막 4회차에서는 전국 소도시에서 활동 중인 현장 기획자들이 의정부를 찾는다. 각자의 지역에서 실현한 기획 경험을 공유하며, 지역 간 네트워크의 초석을 마련하는 장이 마련된다. 프로그램의 마무리는 참여자들이 직접 준비한 음료와 간단한 음식을 나누는 시간으로, 일상 속 친밀한 교류를 통해 커뮤니티의 지속성을 도모할 계획이다.
시는 이번 커뮤니티 프로그램을 통해 단원들에게 실질적인 기획 콘텐츠를 제공하고, 주체적인 참여를 이끌어냄으로써 청년문화공간이 단순한 거점을 넘어 살아 있는 창작의 장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한다. 아울러 다양한 외부 사례와 강의는 기획단의 역량을 높이고, 의정부만의 청년문화 기반을 구축하는 밑거름이 될 전망이다.
시 관계자는 "이번 프로그램은 청년이 공간을 바꾸고, 도시를 다시 상상할 수 있도록 돕는 촉매제"라며 "의정부만의 문화 DNA를 청년들이 중심이 돼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편집자주 : 이 보도자료는 연합뉴스 기사가 아니며 고객들의 편의를 위해 연합뉴스가 원문 그대로 서비스하는 것입니다. 연합뉴스 편집방향과는 무관함을 주지해 주시기 바랍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