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연합뉴스) 장아름 기자 = 정부가 서훈을 추서한 전남대학교 전신(前身) 학교 출신 독립운동가들이 10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김 교수팀은 광복 80주년을 맞아 3·1 만세운동, 광주학생독립운동, 1940년대 학생독립운동 단체 결성 등을 한 활동가들을 조사했다.
광주농업학교는 1919년 3·1 만세운동과 1929년 광주학생독립운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해 최정기 선생(건국훈장 애족장) 등 49명이 서훈에 추서됐다.
1920년에 설립된 여수수산학교 출신 서훈자는 광주학생독립운동에 참여한 오우홍 선생(건국훈장 애족장) 등 33명이다.
1929년 광주학생독립운동 주도 학교인 목포상업학교 서훈 추서자는 박종식 선생(건국포장) 등 16명이다.
전남대 교수로 재직했던 의과대 조규찬 선생(건국훈장 애족장), 문리과대학 이을호 선생(건국포장) 등도 서훈이 추서됐다.
연구팀은 국가보훈부 공훈전자사료관에 등록된 서훈에 추서된 인사들을 기준으로 분류했으며 투옥이나 징계로 학교를 떠난 미서훈자는 포함되지 않아 이를 포함할 경우 150명 이상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김 교수는 "단일 학교 규모로는 가장 많은 독립운동가가 서훈을 받은 것으로 예상된다"며 "해방 80주년을 맞아 대한민국 수립에 기여한 전남대 전신 학교 학생들의 독립운동을 고증하고 선양 사업을 추진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areum@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