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조지영 기자] 그 어려운 걸 해내고야 만 민규동(55) 감독이다.
특히 '파과'는 '여고괴담 두번째 이야기'(99) '내 아내의 모든 것'(12) '허스토리' 등을 통해 충무로 '장르 연금술사'로 등극한 민규동 감독이 7년 만에 선보이는 신작으로 많은 관심을 받았다. 전형적인 장르 연출을 탈피해 온 민규동 감독은 유례없는 캐릭터 설정과 독창적인 액션, 그리고 인간 내면을 밀도 있게 그려낸 액션 드라마 '파과'로 오랜만에 관객을 만나게 된 것. 무엇보다 올해 만 63세 '중견 배우' 이혜영을 주인공 조각으로 캐스팅한 과감한 도전으로 눈길을 끈다. 60대 킬러라는 유례없는 캐릭터를 완성, 느슨해진 한국 영화에 다시 한번 기강을 잡은 민규동 감독이다.
|
|
이혜영에 대한 평가에 대해서는 "영화가 잘 안 나오면 나는 이혜영으로부터 '민규동 인형'으로 만들어져 저주를 받지 않을까 생각했다. 이혜영 선배가 몇 번을 못하겠다 포기하기도 했다. 그동안 이혜영 선배는 영화를 혼자 끌고 간 작품도 없었고 스스로 중심적인 캐릭터의 맥락을 다 표현할 수 있을까 걱정하기도 했다. 관객의 눈이 너무 높다는 걸 알고 있다. 자신 스스로도 액션 눈이 높은데 본인이 할 수 있을까 벌벌 떨었다. 리딩 때도 끝까지 못하고 주저 앉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혜영 선배는 자신의 목소리에 대한 콤플렉스도 있었다. 자신의 모든 것을 싫어하는 면도 있더라. 나는 이혜영 선배가 가진 공포의 에너지가 너무 좋은 자세라고 여겼다. 배우로서 찾아볼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금의 그 모습이 너무 좋았고 이상한 판타지 세계에 전설적인 아우라와 너무 잘 어울렸다"며 "촬영에 돌입했을 때도 조각은 남성적 액션을 준비한 게 아니라서 촬영 전 미리 짜여진 액션도 없었고 당연히 액션을 외워서 할 수도 없었다. 현장에서 순발력, 공간에 맞게 새로 쓴 액션이 많았는데 이혜영 선배는 곧 잘 소화했다. 연습량에 비해 타고났다는 생각이 들었다. 얼굴이 아니라 몸 자체로도 후보가 없었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이어 "이혜영 선배는 스스로 걱정했고 자기 증명을 하기 위해 혼신의 힘을 다했다. 손에 불이 붙었는데도 '괜찮아' 하며 달려가서 하는걸 보면서 다시 감동했다. 올해 내가 데뷔 30년째인데 마지막 컷을 외치고 이혜형 선배에게 달려가 안아줬는데 눈물이 터지더라. 눈물이 멈추지 않더라. 끝날 수 없는 프로젝트라고 생각했고 불가능한 일이라 여겼는데 마지막에서야 확신이 들었다"며 "이혜영 선배는 그동안 즉흥적 연기를 하다가 주 52시간 표준계약 안에 연기를 해야 하는 게 적응하기 쉽지 않았을 것이다. 액션을 타이트하게 해야만 하는 무시무시한 프로덕션 조건을 처음엔 이해 못했다. 그래서 내가 책임지고 끌다 못해 마치 이혜영 선배의 멱살을 잡고 이끄는 기분으로 가임했는데, 하루는 이혜영 선배가 '감독이 나를 너무 안 사랑 하는 것 같아'라고 서운해 하더라. 나는 이렇게까지 배우를 사랑해 본 적 이 없는데도 말이다. 내게 이혜영 선배는 초월적 사랑이었다"고 너스레를 떨었다.
|
|
'파과'는 이혜영, 김성철, 연우진 그리고 김무열, 신시아 등이 출연했고 '무서운 이야기' 시리즈 '간신' '허스토리'를 연출한 민규동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다. 오는 30일 개봉한다.
조지영 기자 soulhn1220@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