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포츠조선 윤진만 기자]21일 중국 선전에서 열리는 중국 축구 A대표팀과 2026년 북중미월드컵 아시아 2차예선 원정경기에서 제2의 '창사 참사'를 당하지 않기 위해선 상대팀의 전력, 그중에서도 클린스만호의 허를 찌를 수 있는 '에이스'의 존재를 살펴야 한다.
우레이는 중국 대표팀 역사를 통틀어 몇 안되는 '유럽파 출신'이다. 2019년, 이적료 200만유로(현재 환율 약 28억원)에 스페인 1부 에스파뇰로 이적해 2022년 여름까지 뛰었다. 스페인 최상위 리그인 프리메라리가에서 72경기를 뛰어 8골을 넣었다. 2부리그를 포함하면 유럽 무대에서 100경기 이상을 뛰었다. 유럽에서 축구를 익힌 까닭에 보통의 중국 선수들과는 결이 다르다는 평이다. 태국전 후반 막바지 순간적인 수비 뒷공간 침투로 추가골을 넣을 뻔했다. 중국 리그 경험자인 김민재(바이에른 뮌헨)를 중심으로 한 한국 수비진은 우레이의 움직임에 특히 유념할 필요가 있다.
그간 우레이에게 한국은 '벽'이었다. 한국을 상대로 A매치에서 득점한 적이 없다. 하지만 2017년 3월 '창사 참사' 현장에 있었다. 당시 울리 슈틸리케 감독이 이끌던 한국은 중국 창사에서 열린 러시아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 중국전서 전반 유다바오에게 결승골을 헌납하며 0대1 충격패를 당했다. 중국 포털 '소후닷컴'은 19일자 기사에서 6년 전 경기를 떠올리며 "약자가 강자를 이기는 사례는 셀 수 없이 많다. 리피 감독은 창사에서 한국팀을 꺾었다"고 적었다.
윤진만 기자 yoonjinman@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