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스포츠조선 윤진만 기자]대한축구협회(KFA)가 홍명보 울산 감독을 차기 축구대표팀 사령탑으로 내정한 배경을 설명했다.
협회는 지난 2월, 위르겐 클린스만 전 대표팀 감독이 카타르아시안컵 우승 실패, 근태 논란 등을 이유로 경질된 이후 포스트 클린스만 찾기에 난항을 겪었다. 제시 마치 현 캐나다 감독을 비롯해 헤수스 카사스 이라크 감독, 세놀 귀네슈 전 베식타쉬 감독, 그레이엄 아놀드 호주 감독, 데이비드 와그너 전 노리치시티 감독, 거스 포옛 전 그리스 감독 등이 하마평에 올랐다. 정 전 위원장을 필두로 한 협회 전광위는 이 과정에서 국내외를 막론하고 100명이 넘는 후보군을 검토한 것으로 전해졌다.
협회는 지난 2월부터 아시안컵 기간에 발생한 선수들간의 탁구게이트 사건 등의 여파로 선수단 규율을 잡아줄 국내파 선임으로 가닥을 잡았다가 팬들의 저항에 부딪히자 외국인 감독을 살피는 등 오락가락 행보를 보였다. 그 결과 3월 A매치는 황선홍 현 대전하나 감독, 6월 A매치는 김도훈 감독이 연이어 임시 사령탑으로 지휘봉을 잡는 촌극을 벌였다. 한국 축구는 이 과정에서 초유의 'A대표팀 5달 감독 공석 상태'를 빚었다.
|
|
이 이사는 "홍 감독은 처음 만났을 때 '절차상 온 거냐, 그 안에서 나를 얼마나 평가하는 거냐' 두 부분을 얘기했다. 제가 평가하고 결정한 부분을 다 설명했다. 그 다음에 왜 홍 감독이 한국 축구에 헌신해줘야 하는지 말씀드렸다"고 이 이사와 홍 감독이 나눈 대화를 공개했다.
협회의 선택은 왜 홍명보였을까. 이 이사는 8가지 이유를 들어 설명했다. 그는 "첫째, KFA의 철학과 게임 모델을 고려했다. 홍 감독은 울산에서 보여준 빌드업이나, 라볼피아나를 활용하고, 백스리를 가져가는 것, 뒷공간을 효율적으로 공략했다. 어태킹 서드 공략, 라인 브레이킹, 크로스를 통한 공격, 콤비네이션 등 다양한 모습을 보였다. 작년 데이터를 바탕으로 K리그에서 기회 창출 1위, 빌드업 1위, 압박강도 1위를 기록했다. 활동량 순위는 10위였지만, 그 말은 효과적으로 뛰면서 경기를 했다는 얘기가 된다. 카타르월드컵에서 우승한 아르헨티나도 활동량을 하위권이었다. 그 점은 한국 축구에 교훈을 준다. 또한 홍 감독은 A대표팀, 23세대표팀, 20세대표팀 지도자로서의 경험과 협회 전무로서 기술 행정 분야에 폭넓은 시야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원팀, 원스피릿, 원골'을 강조한 홍 감독의 리더십, 외국인 감독의 국내 상주 문제, 20세대표팀 시절부터 울산의 K리그 2연패까지 지도자로 성과를 입증한 홍 감독과 외국인 감독 후보와의 성과 비교, 당장 9월에 시작되는 월드컵 3차예선과 새로운 철학을 대표팀에 입히는 시간상의 문제, 각급 대표팀 지도자 경력 등을 토대로 두 명의 외국인 후보보다 높은 평가를 내렸다고 설명했다.
홍 감독이 (10년 전 대표팀 시절)실패한 경험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며 한국 축구 발전을 위해 충분한 시간을 부여할 계획임을 밝혔다.
이 이사는 선임 과정이 결코 녹록지 않았다고 털어놨다. "홍 감독이 나를 만나줄까? 미팅을 할 수 있을까? 고민과 두려움이 있었다. 정몽규 협회장은 '모든 결정을 직접 다 하라'고 지시했다. 홍 감독을 선임하겠다는 마지막 결정을 (회장에게)보고 안했다. 김정배 부회장에게만 보고했고, 추진해달라고 요청했다. 한국 감독과 외국인 감독의 연봉도 동등하게 요구했다. 액수는 밝힐 수 없지만, 한국 감독도 외국 감독 못지않게 대우를 받아야 한다는 생각"이라고 했다.
일각에서 제기된 홍 감독의 대표팀과 울산 겸직은 불가능할 전망이다. 이 이사는 "차후 울산과 협의 후 울산에서 원하는 계획대로 운영해나가겠다"면서도 "(홍 감독이)울산을 계속해서 이끄는 건 어려울 것 같다"고 선을 그었다.
이 이사는 끝으로 "5개월간 감독을 선임하지 못한 부분에 대해 다시 한번 사과의 말씀 드린다. 전강위 위원들도 최대한 노력을 했다. 저 역시 투명하고 절차대로 결정을 했다"며 "K리그팬. 울산 구단에 입이 열개라도 할 말이 없다. 울산 구단에서 홍 감독 보내준 것 약속했기에 감사하고 죄송하다. 저도 앞으로 울산 축구단을 계속해서 응원하겠다"고 했다.
윤진만 기자 yoonjinman@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