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포츠조선 윤진만 기자]K리그1 '중산층'의 삶이 팍팍하기만 하다. 지난 20~21일에 열린 '하나은행 K리그1 2025' 9라운드를 끝마친 현재, '아챔권'(아시아챔피언스리그)인 4위 김천(승점 14)과 '강등권'으로 분류할 수 있는 10위 제주(승점 11) 사이의 승점차는 고작 3점이다. 2위 광주(승점 16)부터 제주까지 9개팀이 승점 1점차로 줄지어있다. 광주-전북(승점 15)-김천-울산(이상 승점 14)-서울-강원(이상 승점 13)-인천-포항(이상 승점 12)-제주가 2위~10위에 포진했다. 승점 간격을 고려할 때, 가장 먼저 승점 20점 고지를 밟은 선두 대전(승점 20)을 1강, 나란히 승점 7점을 기록 중인 11위 대구와 12위 수원FC를 2약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현재 K리그 경쟁 구도는 '1강-9중-2약'으로 요약된다. '우승후보' 울산 서울이 외국인 골잡이의 부재 속 승점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반면 스트라이커의 득점 효과를 톡톡히 누리고 있는 대전 전북은 반등에 성공했다. 승격팀 안양의 예상 외 선전 여파 등이 더해져 중위권이 두터워졌다. 파이널 A그룹과 B그룹의 경계가 사실상 무의미하다.
|
올해는 유독 '절대강지'가 보이지 않는다. 따뜻한 봄이 찾아왔지만, K리그 현장은 매 경기가 살얼음판이다. 누구라도 하위권으로 미끄러질 수 있고, 누구라도 미끄러지듯 선두권으로 올라갈 수 있다. 감독들은 '죽을 맛'이지만, 경기장을 찾는 팬들은 '볼 맛'이 난다.
윤진만 기자 yoonjinman@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