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외벌이 가구의 소득과 소비가 동반 감소한 반면, 맞벌이 가구는 더 높은 증가율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불황의 영향이 '맞벌이외 가구'에 집중됐다는 분석이다.
2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맞벌이외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371만6000원으로 전년보다 0.6% 줄었다. 이는 2003년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후 처음이다. 맞벌이외 가구는 동일가구 내에서 가구주와 배우자가 모두 취업한 경우를 제외한 가구다. 외벌이 가구가 대부분이지만, 부자(父子)취업, 무직 등의 가구도 맞벌이외 가구로 집계된다.
맞벌이외 가구 소득은 매년 평균 4% 내외의 증가율을 유지해왔지만, 지난해 근로소득이 역대 최대 폭인 2.5% 줄어들면서 전체 소득을 끌어내렸다. 소득 감소는 곧 소비 위축으로 이어져, 지난해 맞벌이외 가구의 월평균 소비는 228만1000원으로 전년보다 1.8% 감소했다. 소비가 감소 역시 지난해가 처음이다.
반면 맞벌이 가구의 월평균 소득과 소비는 전년보다 더 높은 수준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맞벌이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555만8000원으로 전년 증가율(1.6%)에 두 배에 육박하는 2.7%의 증가율을 보였다. 특히 근로소득이 5.7% 늘어나, 6.9%의 증가율을 보인 2012년 이후 4년 만에 가장 많이 증가했다. 소비지출 역시 전년 증가율 0.5%를 훌쩍 뛰어넘어 1.6% 늘었다.
경기 불황에 따른 고용 악화로, 소득원이 분산된 맞벌이보다 외벌이가 상대적으로 더 큰 타격을 받고 있다는 분석이다. 또한 맞벌이외 가구 중 경제기반이 열악한 무직가구나 부자가구 등이 포함된 것도 한몫 했다.
한편, 통계청의 가계수지는 2인 이상 가구를 대상으로 한 것으로, 전체 가구의 27.2%를 차지하는 1인가구는 제외됐다. 노인가구 등 저소득층이 많은 1인 가구를 맞벌이외 가구에 포함하면, 그 격차는 더 크게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현장정보 끝판왕 '마감직전 토토', 웹 서비스 확대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