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은 PC, 모바일 등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일주일에 272.53분 뉴스를 보며, 포털 체류시간의 약 40% 정도는 뉴스 이용과 관련한 것으로 조사됐다.
포털이 뉴스 이용 데이터 공개를 거부하고 관련 매출 자료를 파악할 수 없게 회계처리하는 방법을 사용해 전재료를 정확하게 계산하기는 어렵지만, 안 교수가 제시한 전재료는 현재 신문사가 포털로부터 받고 있는 전재료의 약 10배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안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온라인 뉴스 이용 설문조사와 설문 응답자의 온라인 뉴스 이용 로그 데이터 분석을 통해 PC, 모바일에서의 뉴스 이용 체류시간을 산출했으며, 디지털 뉴스 소비를 계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디지털 뉴스 소비 지수' 공식을 개발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선진 외국의 신문 지원 정책의 현황과 시사점'에 관한 박성희 이화여대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교수의 발제도 있었다.
박 교수는 "기술의 변화에 수반되는 미디어 환경에서 저널리즘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고 재원과 수익을 공평하게 나누도록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며, △새 환경에 맞는 저널리즘 플랫폼 개발 지원 △포털과 소셜 미디어, 스마트폰 앱 등 새로운 채널과의 건강한 관계 모색 △공평한 수익구조 및 뉴스 저작권 보호 △신문사 시설 혁신 지원(일명 디지털 새마을 운동) △미디어 컨버전스 시대에 맞는 정책 및 기금운용(신문과 방송 광고재원 교차지원 등) △기타 다양한 혁신 지원 등 기술혁신(Technology innovation)에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교육(Education) 분야의 구체적인 지원으로는 △언론인 양성기관 설립 △NIE 예산 확충과 교육 강화 △시민 대상 미디어리터러시 교육 △심층보도와 탐사보도 등 콘텐츠 지원 △기자연수, 기자 재교육 지원 등을, 민주주의 확산(Democracy) 분야에서는 △가칭 '민주주의 펀드' 조성 △매체 간 균형발전 위한 법제정 △정보복지 향상을 위한 정책(지역 신문 지원, 소외계층/다문화가정 배달 지원 등) 등을 제안했다.
이정혁 기자 jjangga@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