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이 업계 처음 통합 스마트선박 솔루션을 개발, 조선·해운 분야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현대중공업은 이를 통해 조선·해운업 불황 속에 새로운 시장으로 주목받고 있는 '스마트 해운' 움직임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되었다고 설명했다.
특히, 국제해사기구(IMO)가 2019년부터 선박운항 관리체계를 디지털화하는 '이-내비게이션(e-Navigation)'을 도입하기로 하면서, 스마트 선박 수요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 시스템은 현대일렉트릭이 ICT기술로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고자 개발한 산업용 플랫폼 '인티그릭(INTEGRICT)'에 기반해 개발되었다. 에너지 데이터의 수집 및 분석과 엔진, 프로펠러 등의 가동 정보 모니터링을 통해 최적의 상태로 선박이 운용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저항을 최소화하는 선체 전후 기울기 정보 및 최적 운항 속도를 알려줘 안전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해도(海圖) 상에 실시간 날씨 정보를 표시해 효율적인 운항을 돕는다.
해당 시스템을 선박에 적용하면 연간 약 6%의 운항비용이 절감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미 6500대급 자동차운반선과 25만톤급 초대형 광석운반선에 탑재돼 실증작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현대중공업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올해 초 조선업계 처음 ICT기획팀을 신설하고 최고디지털책임자(CDO)를 영입하며 ICT와 조선기술 융합을 적극 추진중이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디지털 혁신을 통해 제품을 넘어 솔루션을 제시하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현대중공업만의 경쟁력을 갖출 것"이라고 말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