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수면 위로 불거지는 성폭행 사건의 대부분이 피해자가 술에 취한 상태로 정신을 잃은 뒤 성폭행을 당했다가 피의자를 '준강간 혐의'로 고소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준강간죄란 사람의 심신상실 또는 항거불능 상태를 이용해 간음하는 것으로 강간죄와 동일하게 3년 이상의 유기 징역에 처하게 된다.
이에 전문가들은 억울한 부분이 있는 준강간죄 혐의를 받게 된 경우, 음주 중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주로 피해자의 진술을 토대로 수사가 진행되는 사건의 특성 상 정신적 피해가 더욱 클 수 있어 성범죄 변호사를 통해 사건을 해결해 나갈 것을 권장하고 있다.
실제로 준강간죄 혐의로 성범죄 변호사를 찾아온 의뢰인 A씨의 사례를 살펴보자. 어느날 아침 지하철 역에서 마음에 드는 여성을 만나 헌팅을 시도한 A씨는 여성과 함께 술을 마시게 됐다. 그 후 서로 동의 하에 관계가 이루어졌고, 헤어질 때 또한 다정한 모습으로 밖을 나섰다. 하지만 며칠 뒤 A씨는 준강간, 강제추행 혐의로 조사를 받게 됐고 성범죄 전담팀을 찾아왔다.
스포츠조선 바로가기스포츠조선 페이스북]
- Copyrightsⓒ 스포츠조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