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취업난'에 길어지는 대학생활…男 '5년8개월', 女 '4년7개월'

장종호 기자

기사입력 2018-06-26 11:38


등록금 마련과 취업 준비 때문에 '휴학'과 '졸업유예'를 하는 학생들이 늘면서 대학생들의 재학기간이 길어지고 있다.

요즘 4년제 대학을 졸업하기까지 재학기간은 평균 5년1개월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4년제 대학을 '4년 만에 졸업한' 졸업생은 5명중 2명 정도에 그쳤다.

26일 잡코리아가 운영하는 아르바이트 포털 알바몬이 4년제 대학을 졸업한 졸업생 20대 466명의 '대학 재학기간과 휴학 및 졸업유예 경험'에 대해 설문조사를 한 결과에 따르면, '4년 이내에 졸업했다'는 응답자가 40.3%에 그쳤다. 59.7%는 '4년을 초과해 졸업했다'고 밝혔다.

4년제 대학 졸업생들의 평균 재학기간을 집계한 결과에서도 평균 재학기간이 5년 1개월로 조사됐다. 여성 졸업생은 평균 4년 7개월로 조금 짧았고, 남성 졸업생의 평균 재학기간은 5년 8개월로 전체평균보다 다소 길었다.

대학생들의 재학기간이 길어지는 이유는 남성들의 군입대 이외에도 등록금 마련과 취업 준비를 위한 '휴학'과 '졸업유예'를 하는 학생들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전체 응답자 중 45.1%가 '휴학을 했던 경험이 있다'고 답했고. '졸업유예를 했던 경험이 있다'는 응답자도 19.5%로 조사됐다.

'학창시절 휴학을 한 이유' 중에는 '진로 탐색을 위해' 휴학을 했다는 응답자가 복수선택 응답률 33.3%로 가장 많았다. 이어 취업에 도움이 될 사회경험(인턴십 등_25.7%)을 하거나 등록금 마련(24.3%)을 위해 휴학을 했다는 답변이 높았다. '해외어학연수를 다녀오기 위해' 휴학을 했다는 응답자도 23.8%로 적지 않았다.

졸업유예 경험이 있는 졸업생들의 '졸업유예를 한 이유' 중에는 '졸업시기를 늦춰 대기업 신입공채에 지원하기 위해' 또는 '취업 스펙을 높이기 위해(자격증, 외국어점수 등)' 유예를 했다는 응답자가 복수선택 응답률 각 40.7%로 가장 많았다. '사회생활을 시작하기 전 휴식과 재충전을 위해' 졸업유예를 했다는 응답자도 24.2%로 다음으로 많았다. 이밖에 취업에 도움이 될 사회경험(인턴십 등_22.0%)을 하거나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기 위해(15.4%) 순으로 졸업유예를 했다는 졸업생이 많았다.

휴학과 졸업유예 경험에 대한 졸업생들의 만족도는 대체로 높아 보인다. '휴학 경험이 구직활동에 도움이 되었는가?'라는 질문에 61.4%가 '도움이 됐다'고 답했다. 이러한 답변은 남성(68.5%)이 여성(57.7%) 보다 소폭 높았다. 또 '졸업유예 경험이 구직활동에 도움이 되었는가?'라는 질문에도 65.9%가 '도움이 됐다'고 답했고, 이 또한 남성(66.7%)과 여성(65.5%) 모두 과반수이상으로 높았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