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으로 근무했던 직장인 10명중 4명 가량만 정규직으로 이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절반 이상은 이직을 했지만 또 다시 비정규직으로 입사한 셈이다.
이직 사유는 정규직과 비정규직 구분없이 커리어 관리를 위한 선택이었다.
기존 정규직이었던 직장인은 이직의 이유로 '더 나은 커리어를 쌓고 싶어서'(29.1%, 복수응답)를 1순위로 꼽았다. 다음은 '연봉에 불만족해서'(28.6%), '복리후생에 불만족해서'(24.9%), '워라밸이 나은 직장을 원해서'(24.3%), '직무를 바꾸기 위해서'(21.2%), '좋은 조건으로 이직 제의를 받아서'(18.5%) 등의 순이었다.
이직한 직장의 만족도는 고용형태를 불문하고 '만족한다'는 입장이 뚜렷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소 만족'(32.5%), '만족'(26.3%), '다소 불만족'(16.7%), '매우 만족'(9.2%), '불만족'(8.3%), '매우 불만족'(7%)의 순이었다.
한편,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에서 대기업으로 이직한 비율은 각각 4.7%, 8.7%에 불과했다. 대기업에서 중소기업으로 이직한 이들은 60.6%로 과반 이상이었으며, 대기업에서 대기업으로 이직한 비율은 18.2%였다.
사람인의 임민욱 팀장은 "현재 비정규직에서 정규직으로 이직에 성공할 확률이 절반 이하로 높지 않지 편이다. 이런 흐름이 지속되면 비정규직으로 취업을 꺼리는 경향은 더 강화될 수 밖에 없다"며 "정규직 비정규직 여부와 상관없이 업무 경험과 역량을 중심으로 평가가 이루어지고, 고용형태간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유연한 노동시장이 형성되야 취업률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