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음성·데이터·문자 등 이동통신 서비스 장애로 피해를 입은 이용자가 180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12일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방송위원회 소속 윤상직 의원(자유한국당)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3년부터 올 4월까지 음성·데이터·문자 등 서비스 장애가 8차례, 총 27시간1분 동안 발생했다.
장애가 가장 잦았던 시기는 지난해 하반기다. LG유플러스 이통서비스가 7월, 9월, 10월 3차례 음성·문자 등 장애를 일으켜 14시간9분간 피해가 발생했고, 361만명의 피해자가 발생했다.
그러나 지난해 9월 부산·울산·경남 일부 교환기 장애로 발생한 음성·데이터 서비스 지연 사고는 40분간 160만명에게 피해를 줬지만 약관상 보상 대상이 아니라는 이유로 보상이 이뤄지지 않았다.
피해자가 가장 많았던 경우는 지난 4월 SK텔레콤의 소프트웨어 오작동으로 VoLTE 서버가 다운되면서 2시간 31분간 음성과 일부 문자서비스 장애가 발생한 사고로 피해자수는 730만명에 달했다. 해당 사고의 경우 약관상 보상 대상이 아니었지만 약관외 자체보상으로 220억원(1인당 3015원)의 보상이 이뤄졌다. KT는 이통3사 중 유일하게 최근 5년여간 별다른 이동통신 장애를 일으키지 않았다.
윤상직 의원은 "정보통신기술(ICT) 초강국인 우리나라에서 아직도 장비 오류 등 기술적 이유로 통신장애가 발생하면서 많은 국민이 피해를 입고 있다"며 "통신장애는 한 번의 실수로 막대한 수의 국민이 피해를 겪을 수 있는 만큼 소관부처와 업체들이 기술과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