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금융소득 상위 1%, 직장인 상위 1%보다 18배 이상 더 벌어

장종호 기자

기사입력 2018-10-24 11:38


금융소득 상위 1%가 번 돈은 직장인 소득 상위 1%보다 18배 이상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김두관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016년 4대 소득자별 상위 1%' 자료에 따르면, 이자와 배당 등으로 돈을 버는 금융소득 상위 1%의 평균소득은 연간 44억5090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근로소득자 상위 1%의 평균소득 2억4379만원과 비교하면 18.3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각 소득자별 소득액을 보면 금융소득자의 총 소득액은 12조2961억원이며 그중 상위 1%는 4조1883억원을 벌었다.

사업소득자의 총 소득액은 95조157억원이며 그중 상위 1%는 21조246억원, 부동산 임대소득자의 총 소득액은 17조 8376억원에 상위 1%는 3조2063억원의 수익을 냈다.

근로소득자 1774만명의 총 소득액은 595조 9907억원에 상위 1%의 총 소득액은 43조2488만원으로 나타났다.

소득별로 상위 1%가 해당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금융소득 상위 1%가 차지하는 비중은 34.1%로 가장 높으며, 이어 사업소득자 22.1%, 부동산 임대소득자 18%, 근로소득자의 상위 1%가 차지하는 소득은 7.3%로 각각 나타났다.

월급쟁이인 근로소득자들간의 임금격차로 인한 불평등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대표적인 불로 소득인 금융소득 격차는 더 벌어지는 것으로 분석돼 금융소득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대해 김 의원은 "금융소득 등이 자산양극화를 심화시키고, 빈부격차가 고착화되면 사회발전의 동력 상실까지 우려된다"며 "조세정의와 과세형평성 제고 차원에서 대표적인 불로소득인 부동산 임대소득에 대해 특례조항 폐지와 금융소득에 대한 종합과세 기준 금액을 현행 2000만원에서 더 낮추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김두관 의원

스포츠조선 바로가기스포츠조선 남북교류 특별페이지]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