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은행들 40조원 '이자수익 잔치'…지난해 예대금리차 5년만에 최대

김소형 기자

기사입력 2019-02-12 08:19


지난해 국내 은행의 예대금리차가 5년 만에 최대를 기록하면서, 은행들의 이자수익이 사상 최대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예대금리차는 대출 금리에서 예금 금리를 뺀 것으로. '예대마진'이라고도 하며 은행들의 수익과 직결된다.

11일 한국은행의 예금은행 가중평균금리 자료에 따르면 잔액 기준 지난해 총대출 금리는 3.71%, 총수신 금리는 1.40%로, 예대금리 차이는 2.31%포인트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13년 2.53%포인트를 기록한 이후 가장 큰 격차다.

예대금리 차이는 금리 상승기를 맞아 대출금리가 예금금리보다 더 오르기 때문에 늘어난다. 지난 2011년 2.96%포인트로 단기 고점을 찍은 후 계속 하락하던 예대금리 차는 2015년 2.15%포인트 기록 이후 꾸준히 상승하는 추세다. 전반적으로 금리가 2016∼2017년 반등하기 시작하면서 총대출 금리는 2016년 대비 지난해 0.36%포인트 상승했으나 총수신 금리는 0.24%포인트 오르는 데 그쳤다.

다만, 지난해 은행들이 금융당국의 건전성 규제 강화에 대비해 정기예금 유치에 적극 나서면서 정기예금 금리를 올린 영향에 예대금리 차가 상대적으로 완화되기도 했다.

신규 취급액 기준으로 정기예금 금리는 2017년 12월 1.78%에서 지난해 12월에는 2.05%로 1년 사이 0.27%포인트 올랐다. 특히 지난해 11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리자 시중은행들이 일제히 정기 예·적금 금리를 올려 웬만한 금융상품의 기본금리가 2%대인 시대에 들어서게 됐다. 이 영향으로 월별 기준으로 지난해 6월 2.35%포인트까지 벌어졌던 예대금리 차가 12월에 2.31%포인트로 좁혀졌다.

이처럼 지난해 예대금리 차가 커짐에 따라 은행의 이자수익도 상당히 크게 발생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이미 지난해 3분기까지 국내 은행의 누적 이자수익이 29조9000억원으로 관련 통계가 집적된 2008년 이후 최대다. 지난해 분기별로 10조원 내외 이자수익을 거둔 셈이다. 이런 추세가 4분기까지 이어지면 지난 한 해 이자수익이 40조원에 달할 전망이다.

최근 주요 시중은행들이 발표한 지난해 실적을 보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11일 지난해 실적을 발표한 우리은행의 이자이익(이자수익에서 이자비용을 뺀 금액)은 2017년보다 8.2%(4303억원) 늘어난 5조6510억원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31일 시중은행 중 가장 먼저 실적을 발표한 하나은행의 경우 지난해 이자수익으로 5조2972억원을 올려 전년보다 10.0%(4830억원) 증가했고, 지난 8일 발표된 KB국민은행의 이자수익도 전년 대비로 9.6%(5360억원) 증가한 6조1007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러한 추세는 올해에도 계속될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지난해 11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예대금리차가 확대됨에 따라 시중은행의 올해 상반기 이자수익이 확대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다만, 금융당국이 시중 은행의 가산금리 조정에 대해 적극적인 간섭 의지를 내비친데다, 내년부터 가계대출 취급에 불이익을 주는 새 예대율(예금 대비 대출금 비율) 산정방식 적용을 천명한 만큼 은행들의 이자수익 확대에 어느정도 브레이크가 걸릴 수도 있다는 관측도 적지 않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봄방학 신나는 초등생 스키캠프 열린다!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