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무릎 관절염은 하루아침에 생기는 것이 아니다. 무릎에 부하가 많이 전해지면 통증과 소리 등 몸에 신호를 보낸다. 간헐적인 신호를 가볍게 넘기면 병을 키우게 되는데, 이상신호를 빨리 알아챈다면 건강한 무릎 관절을 유지할 수 있다.
목동 힘찬병원 진호선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실제 무릎에서 나는 소리로 내원하는 환자를 보면, 대개 일과성으로 없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며 "통증 없이 단순한 소리만 나타나면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지만 통증을 동반하거나, 소리의 빈도가 잦아 움직일 때마다 소리가 난다면 위험신호일 수 있기 때문에 진료를 받아봐야 한다"고 말했다.
무릎을 구부렸다 폈다 할 때 뭔가 걸리는 느낌이나 '덜커덕' 소리가 난다면 무릎 속의 연골판 손상을 의심해 보자. 주로 운동을 하다 무릎이 꺾이거나 뒤틀릴 때 손상되지만, 중장년층은 노화나 누적된 피로로 인해 일상 동작 중에서도 쉽게 찢어지고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찢어진 연골판이 관절면에 끼여 무릎이 펴지지 않기도 하고, 선천적 이상으로 두꺼워진 연골판이 덜컹거리는 염발음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