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운 경영 여건에서도 일부 기업들을 중심으로 채용이 재개되고 있다. 그러나 대면 전형의 감염 예방 대책 마련이나 지원자 증가 등의 이유로 채용 업무의 부담이 코로나19 이전보다 증가해 기업들의 고충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부담이 늘어난 전형은 '실무 면접'이 58.4%(복수응답)으로 가장 많았으며, '모든 전형'이 부담된다는 답변도 22.2%였다. 계속해서 '서류전형'(19.5%), '인성 면접'(17.8%), '인적성 및 필기 전형'(7%) 등의 응답이 있었다.
코로나19 이전 대비 채용 업무 부담이 늘어난 비율도 높았다. 구체적으로는 '30%'(33.5%), '20%'(18.9%), '50%'(18.9%), '40%'(7%), '60%'(6.5%) 등의 순으로, 평균 38.6%로 집계됐다.
구체적인 변화로는 단연 '면접 시 마스크 착용'이 80.8%(복수응답)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밖에 '한 번에 면접을 보는 지원자 수 최소화'(44.8%), '평가에 참여하는 면접관 최소화'(43.2%), '면접관-지원자 사이 간격 최대한 벌리기'(23.2%), '1차, 2차 등 여러 면접 단계 축소'(17.6%), '화상 면접 등 언택트 면접 진행'(14.4%) 등이 있었다.
한편, 전체 응답 기업의 22.5%가 올해 면접 참가자에게 면접비를 지급한다고 답했다. 이는 지난해 조사(27.6%) 대비 5.1%포인트 하락한 수치로, 경영 환경 악화에 따라 기업들이 면접비를 지급할 여력조차 부족해진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