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배달 중심의 외식 소비 트렌드가 뚜렷해지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음식점들이 전반적으로 매출 타격을 받았지만 배달 비중이 높은 음식점의 경우 오히려 매출이 늘었났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강화되면서 비대면 소비 선호 경향이 뚜렷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업종별 보면 방문 식사 비중이 큰 일식 업종 타격이 가장 컸다. 일식 업종의 월평균 매출은 1764만 원으로 29.5% 줄어 6개 업종 중 감소 폭이 가장 컸다. 한식(-20.0%), 치킨전문점(-19.3%), 서양식(-17.0%), 중식(-12.9%), 유사음식점(-7.2%)이 뒤를 이었다.
이경미 한국외식산업연구원 수석연구원은 "결과는 지난해 8월 조사한 것을 분석한 내용이어서 이후 3차 유행 등을 고려하면 외식업체들의 상황은 훨씬 좋지 않을 것"이라며 "그나마 배달을 하는 업체들이 선전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말했다.
한편 2020년 음식서비스 분야 산업인력 현황은 지난해 8월 17~31일 한식·일식·중식·서양식·치킨전문점·유사음식점(피자·햄버거 판매점) 등 6개 업종의 300개 외식업체를 대면 조사하는 형태로 진행됐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2021 신축년(辛丑年) 신년 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