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년 전부터 다리 통증과 저림 증상을 앓아온 60대 A씨. 밤에는 다리 시림과 쥐 때문에 잠을 뒤척이는 날도 많다. 나이 들어 다리 혈관에 이상이 생겼나 싶어 병원을 찾아 하지정맥류 검사를 받아보았지만 이상소견은 없었다. 하지만 A씨의 다리 통증은 사라지지 않았다.
척추관은 목에서 허리까지 척추 내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를 말한다. 척추 주변 인대와 관절이 비대해지면 척추관이 좁아지면서 신경을 누르게 된다. 퇴행성 변화로 척추뼈가 두꺼워지고 척추 뼈 사이를 잇는 인대가 굵어지는 등 여러 원인으로 척추관이 좁아지면 다리로 내려가는 신경을 누르며 다리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척추관협착증 초기라면 물리치료, 재활운동, 주사치료 등과 같은 보존적 방법으로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하지만 증상이 이미 진행되어 통증으로 일상생활이 힘들어진다면 내시경 시술을 통해 보다 적극적인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척추관협착증 내시경 시술은 내시경을 삽입해 병변 부위를 섬세하게 관찰한 뒤 탈출된 디스크와 유착된 염증을 일으키는 물질 등 허리디스크 증상을 일으키는 근본적인 원인을 제거한다. 척추관협착증 내시경시술은 고령, 만성질환, 전신마취에 대한 두려움, 수술 후유증 등의 걱정을 덜 수 있는 비교적 안전한 시술이다.
꾸준한 운동으로 허리 주변 근력을 키우는 것이 좋다. 물론 운동 자체가 좁아진 척추관을 넓혀주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좁아지는 속도를 늦춰주고 좁아진 상태에서도 버티는 힘을 길러줄 수 있다. 제자리에서 할 수 있는 런지나 벽을 이용한 스쿼트 등 생활 속 간단한 운동으로도 근력 운동 효과를 볼 수 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척추관협착증 Q&A
Q. 척추관협착증의 초기와 중기를 나누는 기준은?
-척추관협착증의 초기와 중기를 나누는 기준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척추관협착증과 관련된 환자의 지금까지의 경과가 더 중요하다. 증상발생시점, 심한증상으로 본격(악화)발생시점,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고도 증상의 호전 없음이나 지속이 얼마나 되었는지에 따라 척추관협착증의 위중의 정도를 파악하고 치료방침을 설정할 수 있다.
Q. 20년 전에 절개법으로 협착증 수술을 받았는데 최근 다리가 저려 잠을 잘 수 없다. 한 번 수술했던 사람도 또 수술로 치료받을 수 있나?
-문헌보고에 따르면 척추관협착증의 재발율을 5~15%(경과 관찰 기간에 따라 상이)로 볼 수 있다.
첫번째 수술로 인한 신경 주변의 유착과 수술 후 해당 마디나 인접 마디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수술의 난도가 높아질 수 있다. 하지만 경험이 풍부한 척추외과전문의 판단에 따라 적절한 수술이 이루어진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으니 치료에 대해 포기하지 말길 바란다.
Q. 80세 고령자로 15년 전에 척추관협착증 수술을 받았는데 다시 허리부터 다리통증이 시작된다. 나이가 많아 수술은 무서워 주사치료로 연명하고 있는데, 주사 맞고 2주 후 다시 통증이 시작된다. 계속 주사요법으로 가야 하는지, 수술을 받아야 하는지?
-척추관협착증은 퇴행성 변화와 함께 계속 진행하고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들이 많다. 일정기간 보존적 치료와 주사 및 시술치료 뒤에도 일상생활에 심각한 제한을 가하는 정도의 통증이 있다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는 것을 권한다. 최근 의학기술의 발전으로 고령자분들도 비교적 안전하게 수술을 받고 수월하게 회복하여 조기퇴원, 빠른 일상생활 복귀가 가능하다.
|
▶2021 신축년(辛丑年) 신년 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