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월 백화점 판매 증가율이 25년 만에 전월 대비 최대를 기록하는 등 코로나19로 억눌렸던 소비 심리가 꿈틀거리고 있다. 이른바 '보복 소비'가 본격화하면서 소비지표 역시 코로나19 이전으로 회복하는 모습이지만 여전히 부진한 업종이나 유형도 있어 주목된다.
소비 동향을 나타내는 전체 소매판매액지수도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계절요인을 제거한 계절조정지수 기준 2월 소매판매액지수는 115.2(2015=100)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12월 116.2에 근접했다.
다만 업태·유형별 지수를 보면 회복 속도의 편차가 드러난다.
이와 달리 코로나19 영향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한 의복, 신발, 가방 등 준내구재는 2019년 12월(105.0)보다 낮은 98.0이었다. 외국인 관광객 감소로 면세점 화장품 판매가 부진하면서 비내구재 역시 110.6으로 2019년 12월(115.7)보다 낮았다.
통계청 관계자는 "소비가 저점을 찍고 반등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의복, 신발, 가방 등 특정 상품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전문소매점 회복세는 여전히 더디고, 외부활동 감소로 온라인쇼핑 등 무점포소매 쪽 판매가 증가했다"고 말했다.
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