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지대학교 '고령호발질환 예측 및 진단시스템 실증·실용화 연구팀(이하 연구팀)'이 자신의 심뇌혈관 건강 지수를 간편하게 확인 할 수 있는 '심뇌혈관 건강 자가 평가표'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자가 평가표는 기존의 신체지수(체중, 허리둘레, 혈압, 혈당 등)를 활용한 심뇌혈관질환 평가표와 달리, 한국인의 식생활과 생활양식을 통해 심뇌혈관질환의 위험도를 알아본다는 점에서 새로운 시도로 평가받는다.
연구팀은 영양패턴 연구(교양학부 박항식 교수, 식품영양학과 백진경 교수)와 생활패턴 연구(물리치료학과 김명철 교수, 김해인 연구원)로 나눠 한국인의 식습관(고콜레스테롤·가공품·염분·탄산음료 섭취 등)과 생활양식(운동·수면·심리·흡연·음주 등)을 면밀히 분석해 정확도를 높였다.
연구 책임을 맡은 박항식 교수는 "이미 여러 국가에서 심뇌혈관질환으로 발생하는 사회·경제적 손실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예방을 위한 다양한 연구와 기술을 개발 중"이라며, "한국인에 맞는 연구로 고령층이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고령호발질환 예측 및 진단 시스템 실증 및 실용화' 연구 과제(2016~2021년)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