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년부터 뜨거운 주식투자 열풍이 이어져오고 있다. 특히 MTS(Mobile Trading System, 모바일 트레이딩 시스템)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면서 목 건강에 빨간불이 켜졌다.
조 원장은 이어 "일반적으로 중립 자세에서 목 디스크는 5㎏ 가량의 무게를 견디고 있는데, 고개를 앞으로 15도 숙일 때마다 5㎏ 가량의 하중이 목 디스크에 추가적으로 가해진다. 즉, 고개를 30도 숙이면 15㎏, 60도 숙이면 25㎏ 가량의 부담이 목 디스크에 가해지는 셈이다. 60도 고개를 숙인 채 스마트폰을 하고 있다면 20㎏ 짜리 쌀 한 포대를 목에 이고 있는 것과 다름없다"고 말했다.
실제 이렇게 목에 큰 하중이 가게 되면 질병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대표적으로 일자목증후군이다. 일자목증후군는 목디스크의 초기 증상으로 옆에서 보았을 때 C자 형태의 힐링 커브인 '경추 전만' 곡선이 무너지고, 목 뼈가 일자로 정렬된 비정상적 상태를 의미한다. 이런 상태가 마치 거북이의 목과 유사하다고 해서 거북목증후군'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일자목(거북목)증후군을 장기간 방치하면 목 디스크에 과도한 부담을 주어 디스크 탈출증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그렇다면 이런 거북목 증후군 등을 피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연세건우병원 조수민 원장은 "고개를 앞으로 숙이는 동작을 가급적 피하고, 항시 가슴을 쫙 펴고 턱을 살짝 치켜든 자세를 유지한다. 이 때, 중요 포인트는 목 뒤 근육에 힘이 가급적 적게 들어가야 한다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턱을 당기는 것이 목 건강에 좋다고 오해하고 있지만, 이는 오히려 경추 전만 곡선을 해치고 목 디스크에 부담을 주기 때문에 가급적 피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