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 이후 자영업자 가구의 고소득층과 중산층 비중은 줄어들고 저소득층만 늘어나 소득계층의 하향 이동이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이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마이크로 데이터 분기별 자료(비농림어가, 1인 이상 가구)를 분석한 결과다. 코로나 전후 가구주 직업별 소득계층 비중 변화를 분석한 자료가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코로나 이전인 2019년 2분기에는 자영업자(25.9%)와 근로자(20.9%) 가구의 저소득층 비중 격차가 5%포인트 수준이었으나 올해 2분기에는 8.5%포인트(자영업자 28.4%, 근로자 19.9%)로 더 확대됐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코로나 피해는 근로자 가구보다 자영업자 가구에 집중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보편적 지원 대신 코로나 방역 조치 등으로 불가피하게 피해를 본 자영업자에게 세금 감면·자금 지원 등의 조치를 강화할 필요가 있고, 업종·지역별 실제 피해액에 비례한 맞춤형 지원책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