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청년층의 경제적 고통이 역대 최악을 기록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경제고통지수를 재구성해 세대별 체감경제고통지수를 산출한 결과다. 경제고통지수는 특정 시점의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을 더해 국민의 경제적 삶의 질을 측정하는 지표다. 세대별 체감경제고통지수는 연령대별 체감실업률에 연령대별 물가상승률을 더해 산출한다.
청년 자영업자의 폐업률도 높았다. 2020년 기준 20.1%로 전체 평균(12.3%)의 1.6배였고, 2015년 19.8%보다 0.3% 올라 전 연령대 중 유일하게 악화됐다. 다른 연령대는 같은 기간 모두 폐업률이 줄었다는 게 한경연의 설명이다.
청년층의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2015년 16.8%로, 60세 이상(13.4%) 다음으로 가장 낮았으나 2017년(24.2%)을 기점으로 전 연령대를 제치고 지속해서 상승, 2020년에는 32.5%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청년층 부채는 2015년 1491만원에서 2020년 3479만원으로 연평균 18.5% 올랐지만, 자산은 8864만원에서 1억720만원으로 연평균 3.9% 증가하는 데 그쳤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2022 임인년 신년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