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3분기(7~9월)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물가가 전년 동기 대비 5% 증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네 번째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식료품과 비주류 음료 물가는 '밥상물가'로 불린다.
식료품과 비주류 음료는 물가가 올라도 절약하는 데 한계가 있고, 자주 구매하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물가 상승을 더 민감하게 느낀다.
식료품·비주류 음료 물가는 지난해 1분기(1.7%), 2분기(2.5%), 3분기(6.4%), 4분기(7.1%), 올해 1분기(8.2%), 2분기(7.3%), 3분기(5.0%) 등 7개 분기 연속 오름세를 보였다. 올해 3분기 가격이 특히 많이 오른 식료품·비주류 음료 품목은 달걀(51.6%), 배(45.2%), 사과(34.6%), 마늘(28.1%), 돼지고기(12.4%), 시금치(10.6%), 버섯(9.2%), 닭고기(7.9%), 국산 쇠고기(7.7%), 수입 쇠고기(7.3%), 햄·베이컨(7.0%), 빵(5.9%) 등이었다.
그러나 11월 가공식품과 농·축·수산물이 각각 3.5%, 7.6% 오르는 등 강세를 보이면서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물가가 6.1%로 올랐다. 1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9년 11개월 만에 가장 높은 3.7%였다. 이중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의 기여도가 0.89%포인트에 달했다.
정부는 지난 3일 물가관계차관회의에서 "장바구니 물가의 안정적 관리를 위해 가용한 모든 수단과 정책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밝혔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2022 임인년 신년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