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춥고 건조한 겨울철엔 손 건조증이 심해질 수 있어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겨울철에는 기온과 습도가 낮아져 몸 속 피부 수분 함유량도 떨어지는데, 이때 건조증이 손 같은 노출 부위에 더 자주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손에는 다른 부위보다 땀샘이 많이 분포되어 있어 땀 분비가 감소되면 건조증이 유발된다.
또한 피부 고유의 지질층이 소실되어 표피를 통한 수분 소실이 증가하거나 피부 각질층의 수분이 감소했을 때 건조증이 심해진다.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피부과 이운하 교수는 "손 건조증은 화학물질, 유기용제 등의 과도한 접촉에 의해 악화될 수 있다"며, "비누, 세제 등의 과도한 사용이나 펌, 염색약 등의 화학물질이 접촉되면 탈수 작용이 강해져 손이 마르는 증상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손 건조증의 치료를 위해서는 복용 약물 중 땀 분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약물을 중단하거나 다른 계열의 약물로 교체하고, 쇼그렌증후군이나 전신경화증의 유무 진단을 위해 병원을 방문해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비누와 세제, 펌 및 염색약 등의 자극물질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화학물질 사용 시에는 반드시 보호장구를 착용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손 건조증을 예방하려면 피부 보습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핸드크림은 피부 고유의 지질층 구성물질과 천연보습인자가 함유된 제품을 구매하는 것이 좋으며, 아토피 전용 보습제도 좋다.
이운하 교수는 "화학물질 등의 과도한 접촉을 피하며, 손 건조증의 증상이 점점 심해지고 개선이 되지 않을 때는 복용 약물과 관련 질환 유무를 알아보기 위해 진료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