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들어 최고 기온이 30도를 넘나들고 역대급 무더위가 예고되면서 유통업체들이 8월 말 또는 9월까지 신선 식품 관리를 대폭 강화하는 하절기 위생관리 프로그램을 본격 가동했다.
우선 이마트는 전체 점포에 '준법관리자'가 필수로 상시 근무하며 농산·수산·델리 등 먹거리 위생 상태를 점검한다. 칼과 도마 등 작업 도구와 위생장갑을 수시로 교체한다. 김밥은 점포 입고 즉시 냉장 보관하며, 수박·멜론 등 조각과일도 상시 냉장 진열 판매한다.
백화점들도 본격 관리에 돌입했다. 롯데백화점은 적외선 온도계와 위생오염도(ATP) 측정기, 수질 측정기, 금속 탐지기 등의 전문 장비를 도입했다. '당일 판매'가 원칙인 즉석섭취식품 판매 기한을 냉장 진열 상품은 7시간으로, 실온 진열 상품은 4시간 이내로 각각 단축했다.
신세계백화점은 여름철 식중독 가능성이 있는 일부 신선식품과 즉석 조리 식품 판매를 한시적으로 중단했다. 조각 수박의 경우 단순 랩 포장을 전면 중단하고 전용 용기에 담아 팔기로 했다.
현대백화점은 현대그린푸드 식품위생연구소와 매년 하절기 위생관리 프로그램을 가동해 식품위생법보다 더 엄격한 수준의 자체 위생관리시스템을 적용한다. 하절기 고위험 메뉴로 선정한 김밥·초밥·샌드위치·샐러드 등의 진열 판매 시간을 기존 4시간에서 3시간으로 단축했다. 특히 시금치는 김밥과 잡채 등에 사용을 금지하고 부추 등 대체품을 사용한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