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최근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 SNS에서 '물 단식'과 '00시간 단식'이라는 극단적인 다이어트 방법이 유행하고 있다. 이는 말 그대로 정해놓은 시간 동안 물만 섭취하며 다른 영양분은 일체 섭취하지 않는 극단적인 다이어트 방법이다. 온라인에는 성공 후기가 우후죽순 쏟아지고 있지만, 실패 후기도 적지 않다.
또한 이 대표원장은 "72시간의 단식은 몸을 케토시스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며 "케토시스 상태에서는 에너지원으로 저장된 지방을 사용하게 돼 체지방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 대표원장에 따르면 단식은 인슐린 민감성을 향상시켜 혈당 조절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이는 특히 인슐린 저항성이 있는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체중 감량을 원할 때 가장 손쉽게 선택하는 굶는 다이어트는 일시적인 효과는 있을 수 있지만, 부정적인 영향이 훨씬 더 크다. 이 대표원장은 "어쩌다 한 번 3일 정도는 괜찮을 수 있지만, 이를 반복적으로 하거나 7일, 10일 등 장기간 물 단식을 이어가는 것은 지속적으로 이행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건강에도 큰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섭취하는 칼로리를 급격하게 제한할 경우 갑상선 기능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갑상선 호르몬은 우리 몸의 대사 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갑상선 호르몬이 많이 분비되면 우리가 먹은 음식이 빨리 타서 없어지고 체중이 감소하게 된다. 대부분의 갑상선기능저하증 환자들은 비만의 위험성이 높다. 즉, 굶는 행위가 비만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지속적으로 굶다 보면 식욕도 점점 강해질 수 있다. 항상 배고픈 상태가 유지되면 음식에 대한 갈망은 커질 수밖에 없고, 정신적으로도 다이어트가 힘들어지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 대표원장은 "절식하는 다이어트는 반복할수록 요요현상을 일으킬 수 있는 가장 쉬운 길이므로 다이어트 성공을 바란다면 한 달에 2~3㎏ 빼는 것을 목표로 하고, 6개월간 체중의 10% 정도씩 천천히 감량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다이어트에 지름길은 없다. 건강한 체중 감량을 원한다면 전문가와 함께 자신에게 맞는 길을 정하고 실천하는 게 중요하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