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내분비내과 정인하 교수가 대한당뇨병학회 국제학술대회 '2024 KDA Scientific Meeting: 14th International Congress of Diabetes and Metabolism (ICDM2024)'에서 최우수구연상(Best oral presentation)을 수상했다.
렙틴은 뇌가 포만감을 느껴 더 이상 음식을 섭취하지 않도록 식욕을 억제하는 호르몬인데, 당뇨병 환자나 비만한 사람에서는 오히려 렙틴의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면서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는 '렙틴 저항성'이 나타난다. 이로 인해 포만감을 느끼지 못해 과식을 유발한다. 오베스타틴 또한 식욕 억제와 관련된 호르몬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 결과, 둘라글루타이드는 당화혈색소(HbA1c)를 감소시키고, 인슐린을 만드는 췌장 베타세포의 기능을 개선했다. 또한 둘라글루타이드 역시 다른 GLP-1 수용체 작용제와 마찬가지로 렙틴 수치를 낮춰 혈당 조절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도 이번 연구에서 처음으로 확인했다. 특히 오베스타틴 수치의 증가가 GLP-1 수용체 작용제의 혈당 개선 효과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새로운 사실도 밝혀내 학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