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플랜트 설계·시공·운영 100% 국내기술로…SK실트론서 실증플랜트 통수식
환경부는 9일 경북 구미시 SK실트론 구미2공장에서 '초순수 국산화 실증플랜트 통수식'을 진행했다.
초순수는 불순물이 거의 없는 물로, 반도체 생산과정에선 불순물과 오염물질을 씻는 데 사용된다. 이차전지와 디스플레이를 생산할 때도 쓰이며 화학산업과 의료·바이오 산업에서도 사용되는 등 첨단산업 필수 자원이다.
초순수 시장은 2028년까지 국내 2조5천억원, 세계 35조5천억원 규모로 현재(2021년 국내 2조2천억원, 세계 28조원)보다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초순수를 만들기 위해선 물속 이온물질 농도를 '1조분의 1' 이하, 용존산소 등 기체 농도를 '10억분의 1' 이하로 만드는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일부 국가만 초순수 생산기술을 보유했으며 그간 일본이 사실상 기술을 독점해왔다.
환경부는 한국환경산업기술원과 함께 2021년 4월 고순도 공업용수 국산화 기술개발 사업을 시작하며 초순수 국산화를 진행해왔다. 내년 최종 완료될 이 사업에는 국고 324억5천만원을 포함해 총 443억4천만원이 투입됐다.
이날 통수식이 이뤄지는 초순수 실증플랜트는 설계·시공·운영은 100% 국내기술로 이뤄지고 핵심 기자재는 70%가 국산 제품이다. 하루 최대 1천200t의 초순수를 생산할 수 있으며 SK실트론 공장에 24시간 연속으로 초순수를 공급한다.
이 초순수는 실리콘카바이드(SiC) 웨이퍼 생산에 쓰인다.
환경부는 세계 초순수 시장에 국내기업이 뛰어들 기반이 마련됐다고 보고 내년부터 2030년까지 후속 연구개발 사업을 진행하고 2031년엔 '초순수 플랫폼 센터'를 구축해 기술 확보와 인력 양성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jylee24@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