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함께 글로벌 제약바이오 공급망 재편 강화 전망에 따라,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조언이 나왔다.
이 부교수는 "향후 글로벌 제약바이오 의약품 분야에서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에 대비해 우리의 제약바이오 의약품 공급망을 재점검하고, 관련분야에서의 국제협력 체계를 공고히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중장기적으로 바이오의약품 분야의 R&D 및 기술 혁신을 통해 고부가가치 제품을 적극 개발할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며 "수출경쟁력을 갖춘 바이오의약품 분야에서 우위를 유지하고, 영향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산업육성 지원과 기업들의 활발한 기술혁신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정책보고서는 해당 제언을 비롯해 ▲한국 제약바이오산업, 글로벌 진출의 길(이현우 한국제약바이오협회 글로벌본부장) ▲한국 제약바이오기업의 글로벌(중국) 성공전략(이상재 셔더코퍼레이션 대표) ▲미국 의약품 직판 : 성공을 위한 핵심 요소와 준비 전략(안세진 아카디아 대표) ▲국내 제약기업의 해외 의약품 조달시장 진출 전략(손경복 한양대학교 약학대학 교수) ▲제약바이오기업 국내외 투자·투자유치 시 고려사항(최정은 법무법인 세종 변호사) 등 시장 환경 변화에 대한 분석도 담았다.
이와 함께 ▲첨단 바이오기술 동향 및 신흥안보 이슈(김흥열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센터장) ▲첨단재생의료 치료제 및 치료기술의 국내외 동향과 제언(조인호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장) ▲보호무역주의 확산과 ESG 대응 과제(박세연 한화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수석연구위원) ▲이중약가제의 시작과 활용가치(강희성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약가제도 및 유통위원회 위원(대웅제약 대외협력실장)) 등의 기고도 담았다.
표준희 AI신약융합연구원 부원장은 'AI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의약품 제조혁신기술 동향'을 주제로 한 기고에서 "제약산업에서 첨단 제조혁신기술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데이터 표준화 및 통합지원, AI 기술의 검증 체계 강화, 재정적 지원 확대, 규제과학 기반의 정책 수립, 전문 인재 양성 등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