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어지러움은 누구나 살면서 한 번쯤은 경험하는 아주 흔한 증상이다.
'빙빙 돈다'거나 '걸을 때마다 비틀거린다', '기절할 것 같다', '머리가 띵하고 무거운 느낌이 든다' 등이 대표적이다.
간혹 이 느낌을 뭐라고 표현해야 할지 모르겠다는 환자도 있다.
대표적인 증상들을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빙빙 도는' 느낌이 드는 현상을 '현훈'이라고 하는데, 환자 자신이나 주변이 가만히 있음에도 움직이는 것처럼 느끼는 것으로, 주로 머리를 움직일 때 악화된다. 이 증상은 귀의 평형기관이나 뇌의 문제로 생길 수 있다. 흔히 접하는 이석증, 전정신경염, 메니에르병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걸을 때 비틀거리는 균형장애는 눕거나 앉아 있을 때는 증상이 없지만, 일어나 걸을 때 균형 잡기 어려워질 수 있다. 이것은 뇌 병변, 척수 병변이나 다리의 신경에 문제가 있을 때 생길 수 있다.
또한, 실신성 어지러움은 의식을 잃지는 않으나, 기절할 것처럼 아득해지고, 눈앞이 캄캄하거나, 창백해지고 식은땀이 날 수 있다. 이 증상은 심장 문제, 과도한 혈압약, 저혈당 등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머리가 띵하다, 공중에 뜬 느낌이나, 몽롱한 느낌, 뇌가 빠져나가는 느낌 등의 비특이적인 어지러움 증상이 있는데, 이는 정신적인 문제, 약물 등 여러 원인에 의해 생길 수 있다.
윤영신 과장은 "어지러운 증상이 있을 때는 이 증상이 뇌의 문제로 인해 생긴 것인지를 감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매우 다양한 원인에 의해 다양한 증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집에서 정확한 감별을 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고 전했다.
따라서 갑자기 어지러움이 발생했다면 신경과 전문의에게 진료를 받아야 한다.
윤영신 과장은 "특히 ▲두통(뒷목 통증) ▲균형 장애 ▲의식 변화 ▲팔다리 마비 ▲언어장애 등의 신경학적 증상 등은 뇌 질환에 의한 전조증상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지체 없이 검사 및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증상이 심할 때는 움직이는 것이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안정을 취하면서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되는 약물을 복용해 볼 수 있다. 대부분의 어지러움은 수일 내로 사라지는 경과지만, 만성적으로 지속되거나 재발하는 경우도 있어 진료가 필요하다.
윤영신 과장은 "어지럼증의 경우 개인마다 발생 원인과 나타나는 양상, 어지러움의 정도가 각기 다르므로 자가 진단에 의존해 가볍게 치부하고 방치하기보다는 신경과 전문의 진료를 통해 정확한 진단과 근본적인 치료를 받는 게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