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찬 공기가 지속되는 요즘 같은 시기에는 건강관리에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그중에서도 많은 이들이 불편감을 호소하는 질환 중 하나가 바로 치질이다. 치질 환자는 보통 겨울부터 급증하는 경향을 보이곤 하는데, 기온이 낮아지면 혈관이 수축하고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져 항문 건강을 악화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더해 여러 모임에서 마시게 되는 술 또한 치질 증상을 악화시켜 환자들을 괴롭히곤 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3년 치핵 환자 수는 62만여 명으로 이 가운데 40대와 50대가 각각 21.2%, 21.6% 정도로 큰 비중을 차지했지만, 20대와 30대 또한 각각 11.7%, 17.9%로 적지 않게 나타났다.
치핵이 발생하는 것은 여러 생활습관과도 관련이 깊다. 배변 시 과하게 힘을 주거나 변기에 오래 앉아있는 것이 치핵을 악화시키는 대표적인 습관이며, 과한 음주 혹은 섬유질 섭취 부족 또한 관련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김지형 과장은 "장시간 같은 자세로 일하는 경우 수시로 스트레칭을 하거나 자세를 변경해주는 것이 좋고, 식이섬유와 물을 충분히 섭취하는 식습관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며 "배변 시에는 화장실에서 짧게 머물 수 있도록 배변에 집중하되, 힘을 너무 세게 주는 습관은 피하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치핵은 증상의 정도에 따라 가벼운 1도에서부터 상태가 악화된 4도까지로 분류된다. 증상이 경미할 경우 앞서 언급된 생활습관 개선과 약물치료 등을 적극 활용할 수 있으나, 증상이 점차 심해질 경우 고무밴드 결찰술이나 경화요법 등의 시술을 추가적으로 시도해볼 수 있다. 이러한 시도에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을 경우 최후의 수단으로 수술을 고려하게 된다.
김지형 과장은 "남들에게 항문 질환을 알리는 것을 부끄러워해 이를 숨기고 방치하다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며 "초기 단계에서 치료를 시작하면 불필요한 고통을 줄일 수 있기에, 부담갖지 말고 병원에서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고 당부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