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국내 연구진, 루게릭병 원인 단백질 응집 억제하는 나노소재 기반 치료법 제시

김소형 기자

영문보기

기사입력 2025-02-20 17:30


국내 연구진, 루게릭병 원인 단백질 응집 억제하는 나노소재 기반 치료법 …
이미지=한국기초과학연구원

국내 연구진이 난치성 신경퇴행성 질환인 루게릭병(근위축성 측색경화증)의 원인 단백질인 TDP-43(Transactive response DNA-binding protein-43) 단백질 응집(protein aggregation)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나노소재 치료법을 제시했다.

운동신경 세포의 파괴로 인한 질환인 루게릭병은 신경세포 내 TDP-43이 비정상적으로 응집돼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일 한국기초과학연구원(이하 기초지원연)에 따르면, 첨단바이오의약연구부 이영호 박사팀은 동아대 의대 홍영빈 교수팀, 한국뇌연구원 남민엽 박사 연구팀, 서울대 홍병희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그래핀 양자점(Quantum Dot·수 나노미터 크기 반도체 입자)이 TDP-43 단백질의 단백질 응집체 형성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세포 내 액액상분리 현상을 제어함으로써 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입증했다. 연구팀은 루게릭병을 유발하는 다른 원인 단백질인 'FUS' 및 C9orf72 돌연변이 모델에서도 대해서도 그래핀 양자점이 신경 보호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 기존 신경 보호나 항염증 효과에 중점을 둔 치료제와 달리 단백질 응집을 직접적으로 타깃으로 하는 치료 기술로, 루게릭병뿐만 아니라 다른 신경퇴행성 질환 치료제 개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이번 연구 성과는 나노과학 분야 최상위 학술지인 '에이씨에스 나노'(ACS Nano) 지난 4일 게재됐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