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대한신장학회 '자가 콩팥검사 키트지 배포 캠페인' 진행

장종호 기자

영문보기

기사입력 2025-04-09 18:17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대한신장학회(이사장 박형천)는 만성콩팥병 조기 진단의 일환으로 '자가 콩팥검사 키트지 배포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캠페인은 2022년에 이어 세 번째로 실시되는 것으로, 매년 약 10만개의 요검사 키트지가 배포되어 만성콩팥병에 대한 인식 제고와 조기 발견에 기여한 바가 있었다.

이번 캠페인은 국민 콩팥 건강 개선을 위한 10개년 비전인 'KHP 2033'(Kidney Health Plan)의 일환으로 대한신장학회 회원이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신청은 대한신장학회 공식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다. 신청기간은 2025년 4월 말까지이며, 키트 배송은 2025년 5월 10일 완료될 예정이다. 이후 고혈압·당뇨병 등 만성콩팥병 고위험 환자들은 대한신장학회 회원 소속 병·의원에서 의료진 상담을 통해 키트를 받을 수 있다.

대한신장학회의 'KHP 2033'(Kidney Health Plan)은 2033년까지 ▲예상 만성콩팥병 환자 수 10% 감소 ▲당뇨병 말기콩팥병 환자 비율 10% 감소 ▲말기콩팥병 환자의 재택치료(복막 투석 및 장기이식) 비율 33%로 증가 등을 미션으로 제안했다.

만성콩팥병은 3개월 이상 신장 기능이 저하된 상태로, 국내 30세 이상 인구의 13.7%가 앓고 있다. 주요 원인은 당뇨병과 고혈압이며, 신장 기능이 현격히 저하되면 투석이나 이식이 필요한 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 그러나 자각 증상이 늦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조기 진단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정기적인 혈액검사와 소변검사를 통한 선별 검사가 중요하다.

특히 단백뇨는 많은 경우에서 사구체 여과율(GFR, 콩팥점수) 감소 이전에 나타나는 초기 신호로, 만성콩팥병 발생을 경고하는 '옐로카드'라고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만성콩팥병의 고위험군(당뇨병, 고혈압 등)에서 단백뇨 여부 확인은 질병 조기 발견과 진행 억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황원민 홍보이사(건양대병원)는 "만성콩팥병은 조기 진단만으로도 진행을 늦출 수 있는 질환으로, 특히 당뇨병, 고혈압 등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분들은 반드시 1년에 한 번 이상 정기적인 검진을 받아야 한다"며, "이번 캠페인을 통해 자신의 콩팥 건강을 점검해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대한신장학회는 앞으로도 국민 건강 증진과 질환 예후 개선을 위한 'KHP 2033' 실현을 위해 2025년에도 만성콩팥병의 조기 진단과 치료에 대한 교육과 홍보 등 다양한 사업들을 진행할 계획이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대한신장학회 '자가 콩팥검사 키트지 배포 캠페인' 진행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