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폐렴구균 예방접종, 약제별·의료기관별 가격차 커…가격 확인 방법은?

김소형 기자

영문보기

기사입력 2025-04-09 18:21


폐렴구균 예방접종, 약제별·의료기관별 가격차 커…가격 확인 방법은?
 ◇폐렴구균 예방접종 비급여 진료비용 검색 방법. 자료=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환절기 폐렴 예방을 위한 폐렴구균 예방접종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의료기관별 접종 가격차이가 커 혼란이 일고 있다.

폐렴은 초기 증상이 감기와 유사해 무심코 지나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2023년 사망원인 통계에 따르면, 폐렴으로 인한 사망은 전체 사망 원인 중 3위(인구 10만 명당 57.5명)를 차지하며, 10년 전(2013년, 21.4명) 대비 약 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폐렴 발병 시기는 12월에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는 4월, 5월 순이었다. 2023년 폐렴으로 입원한 환자는 전체 환자의 21.8%로, 전년대비 1.4배 증가했으며, 연령대별 발병률은 40~50대 중장년층이 전체 환자의 11.2%, 전년 대비 1.5배 증가하는 등 전 세대에서 폐렴 구균 예방접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폐렴구균 백신 접종은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비급여 항목이라 같은 종류의 백신이라고 해도 의료기관에 따라 가격이 다르다. 또한 약제별로도 차이가 크다. 2024년 비급여 가격(진료비용) 조사·분석 결과, 폐렴구균 예방접종은 약제 종류에 따라 평균 가격에 다소 차이가 있었으며 단백결합백신(PCV)이 다당질백신(PPSV)보다 평균 가격이 약 2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CV는 프리베나13주와 신플로릭스 프리필드시린지, PPSV는 프로디악스-23과 프로디악스-23 프리필드시린지 등이다.

이와 관련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비급여 진료비용 공개제도'를 통해 국민들이 병원 방문 전 폐렴구균 예방접종 가격을 미리 확인하고 의료기관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약제 종류 및 지역 등에 따라 가격차가 있는 만큼 폐렴 예방접종을 앞둔 국민들은 심사평가원 누리집과 모바일 앱 '건강e음'을 통해 의료기관 간 비급여 가격을 확인하고 비교할 수 있으며, 의료기관별 누리집을 통해서도 항목별 비급여 가격을 확인할 수 있다. 누리집을 운영하지 않는 의료기관은 기관 내 책자, 메뉴판, 벽보 등을 통해 고지한다.

이와 함께 심평원은 지난해 국가예방접종사업 대상 약제로 지정된 '박스뉴반스프리필드시린지(PCV15)'를 2025년 비급여 진료비용 공개 대상 항목으로 확대·적용하고, 올해 8월 전국 의료기관별 가격을 공개할 계획이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