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9기 신인들이 첫선을 보인지 1분기가 지났다.
스피드스케이팅 선수 출신의 29기 수석 졸업 박건수(29기, A1, 김포)는 비선수 출신 신화 인치환(17기, SS, 김포) 박병하(13기, A1, 창원 상남)와 비교되며 많은 이들의 주목을 받았다. 박건수는 지난 1월 17일 창원에서 펼쳐진 첫 출전에서 4착, 2월 23일 열린 스피드온배 대상경륜 우수급 결승전 7착을 제외하고는 모든 경기에서 3착 이내 입상에 성공했다. 4월 6일 전까지는 우승을 모두 금요일 예선전이나 토요일 독립 대전에서 차지했을뿐 결승전 우승과는 인연이 없었다. 그러나 지난 6일 드디어 부산광역시장배 특별경륜 우수급 결승전에서 우승하며 수석 졸업생의 체면을 세웠다.
|
|
1월 19일 광명 3회차 우수급 결승전에서는 원준오(28기, A1, 동서울)과 유지훈(20기, A1, 전주)에게 차례로 덜미를 잡혀 3위에 그쳤고, 2월 2일 광명 5회차 우수급 결승에서는 원준오를 3착으로 밀어내는 데 성공했지만 유태복(17기, S1, 김포)의 벽을 넘지 못하고 2위를 기록했다. 3월 9일 광명 19회차 결승전에서는 임재연(28기, A1, 동서울)의 막판 추입으로 결승선 앞에서 잡히며 2착에 만족해야 했다.
3위 졸업생인 이성재(29기, A1, 전주)도 우수급 결승전에 3차례 이름을 올렸으나, 3착 1회가 최고 성적이다. 1월 26일 광명 4회차 우수급 결승에서 타종과 함께 과감하게 선행 전법을 펼쳤으나, 동기인 박건수에게 젖히기를 허용하며 박건수 2착, 이성재가 3착을 기록했다. 바로 다음 주인 2월 2일 광명 5회차 우수급 결승전에서는 7착, 2월 16일 창원 7회차 결승전에서도 5착에 그쳤다.
|
|
일본 전지훈련으로 동기들보다 출전 횟수가 적은 4위 졸업생 김태완(29기, A1, 동서울)은 결승전에 처음 이름을 올린 2월 16일 창원 7회차 6경주에서 동기생 이성재의 선행을 젖히기로 시원하게 넘어섰지만, 자신을 따라오던 최동현(20기, A1, 김포)의 벽을 넘지 못해 결승전 기록이 2착 1회뿐이다.
예상지 경륜박사의 박진수 팀장은 "과거 기록을 살펴보면 2023년 27기는 손경수(27기, S3, 수성) 외에도 박경호(27기, S2, 동서울)가 1월 21일, 선발급에서 시작한 임유섭(27기, S1, 수성)이 3월 19일에 우수급 결승을 접수했고, 2024년 28기 역시 손제용(28기, S1, 수성) 외 민선기(28기, S2, 세종)가 2월 4일, 석혜윤(28기, S1, 세종)이 2월 18일, 원준오(28기, A1, 동서울)가 3월 3일, 그리고 선발급에서 시작한 김준철(28기, A1, 청주)이 3월 17일에 우수급 결승을 접수하는 등 29기 우수급 신인보다 분명히 빠른 속도로 우수급 강자로 자리를 잡았다"며 "29기 4인방으로 평가받는 박건수, 김태호, 이성재, 김태완도 기량면에서는 크게 뒤질 것이 없기에 이번 박건수의 우승을 시점으로 더욱 좋은 활약을 펼칠 것으로 보이며, 하반기 특선급 승급이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박상경 기자 ppark@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