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1주일 8잔 이상 음주, 평균 13년 일찍 사망…치매 위험성은 2배"

장종호 기자

영문보기

기사입력 2025-04-10 16:05


"1주일 8잔 이상 음주, 평균 13년 일찍 사망…치매 위험성은 2배"
자료사진 출처=픽사베이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1주일에 8잔 이상의 술을 마신 사람은 술을 전혀 마시지 않은 사람들보다 평균 13년 일찍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렇게 음주할 경우 노년기 치매 위험성이 2배로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브라질 상파울루 의과대학 연구진은 '알코올 소비와 인지 능력 및 신경 병리학적 변화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결과를 최근 국제 학술지 '신경학(Neurology)'에 게재했다.

연구진은 사망 당시 평균 연령이 75세였던 1781명의 뇌 부검을 실시했다.

연구진은 치매 위험성을 높이는 '타우(tau) 단백질'과 '유리질 동맥경화증' 등 뇌 손상의 징후를 찾기 위해 뇌 조직을 조사했다.

타우 단백질은 뇌 세포 간의 연결을 방해하고, 유리질 동맥경화증은 혈액이 뇌 부위로 이동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어 혈관성 치매를 유발한다.

또한 연구진은 △술을 한 번도 마신 적이 없는 965명 △1주일에 7잔 이하의 술을 마신 319명의 '적당한 음주자' △1주일에 8잔 이상 술을 마신 '과음자' △368명의 '전 과음자' 등으로 구분했다. 한 잔의 술은 대략 와인 1잔이나 맥주 1잔과 같은 것이다.

분석 결과, 중등도, 과음 또는 이전에 과음했던 사람들의 45~50%는 뇌에 유리질 동맥경화증의 징후를 보였다.


이에 비해 술을 전혀 마시지 않는 사람들의 40%는 손상의 징후를 보였다.

그러나 흡연 상태, 신체 활동 수준, 사망 연령과 같은 뇌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조정한 결과, 과음자는 술을 전혀 마시지 않는 사람에 비해 동맥경화증에 걸릴 확률이 133% 더 높았다.

이전에 과음한 사람은 혈관 손상의 징후를 보일 가능성이 89% 더 높았고, 적당한 음주자는 60%였다.

또한 과음자와 이전에 과음한 사람은 술을 마시지 않은 사람에 비해 타우 단백질 손상 가능성이 30~40% 더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에 대해 연구진은 "우리의 연구는 과도한 알코올 섭취가 뇌에 손상을 입혀 기억력과 사고력 문제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했다.

연구를 이끈 알베르토 페르난도 올리베이라 후스토 박사는 "과도한 알코올 섭취는 건강 문제 및 사망 증가와 관련된 전 세계의 주요 건강 문제이다"며 "공중 보건 인식을 높이고 과음을 줄이기 위한 예방 조치를 지속적으로 시행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