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청주=연합뉴스) 천경환 기자 = 대학과 지역의 동반성장을 위한 충북도의 라이즈(RISE·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사업과제 선정 결과를 놓고 일부 잡음이 일고 있다.
14일 충북도에 따르면 최근 대학별로 접수한 라이즈 사업 계획을 검토한 뒤 18개 대학의 사업 과제 114건을 선정, 814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지난 2월 공모에 참여한 도내 18개 대학이 모두 선정됐으며, 충북대가 전체 예산의 25.6%인 209억700만원을 확보했다.
이어 한국교통대(131억2천800만원), 청주대(100억7천만원), 서원대(48억5천400만원) 등 순으로 예산이 배정된다.
올해 처음 시행되는 라이즈는 대학이 지역혁신의 중심이 되도록 지원하는 것으로, 대학 재정지원 사업 예산 집행권이 중앙정부에서 지자체로 이관된다.
선정된 주요 라이즈 사업 과제는 3대 전략산업(이차전지·바이오·반도체) 핵심 인재 양성, 지역 특화산업 및 혁신클러스터 중심 융합인재 양성, 국가-충북 미래 전략 기반 연구·사업개발(R&BD) 및 혁신 창업 지원 등이다.
도는 이들 사업을 통해 2029년까지 지역 정주 취업률 15%, 지산학연 공동연구 증가율 40% 달성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도는 지역 발전에 필요한 맞춤형 인재를 양성하고, 이들을 지역 기업체에 취업시켜 정주하도록 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그동안은 중앙정부 주도로 일부 거점 대학에 예산을 몰아주는 경향이 있었지만, 라이즈 사업을 통해 군소 대학들도 지역소멸 위기 극복 등 문제에 동참하고 특화 분야의 경쟁력을 키울 수 있게 됐다.
하지만 사업 수행 역량이 부족한 대학들까지 특정 과제에 동등한 기회를 부여하는 것이 실효성이 있겠느냐는 비판도 나온다.
충북 3대 전략산업 핵심인재 양성 과제(32건)의 경우 18개교 모두 선정됐는데, 여기에는 신입생 충원율 저조 등 사유로 최근 3∼4년 동안 교육부의 대학 재정지원 제한 대상에 포함된 대학들도 있다.
한 대학 관계자는 "3대 전략산업 과제를 예로 들면, 일부 대학은 관련 학과를 신설해도 학생 모집조차 어려울 것"이라며 "또 일부 대학은 관광 등 특정 분야에 특화돼 있는데 무리하게 사업 참여 기회를 부여한 게 아닌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다른 사립대 관계자는 "소멸위기 지역의 대학들도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자는 취지는 공감하지만, 예산은 한정돼 있는데 항목이 너무 세분된 데다가 나눠먹기식으로 참여 대학만 늘어나다 보니 불만이 나오는 것 같다"며 "섣불리 결과를 예단하기는 어렵지만 대학들과 긴밀히 소통해 사업 방향을 정리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귀띔했다.
충북도는 중간 점검, 종합평가 등을 거쳐 사업 수행 과정을 철저히 관리하겠다는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라이즈 사업 취지 중 하나는 인문학이나 전통 학과들을 산업 수요에 맞는 학과로 유도하는 것"이라며 "이번 사업을 통해 학과 개편 등 대학 구조 개혁이 이뤄질 수 있는데 사업 계획만 충실하다면 기회를 주는 게 맞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역 특화산업의 경우 시·군이 사업비 20%를 분담하는 등 함께 사업을 구상했다"며 "향후 평가 결과에 따라 예산을 차등 지원하는 등 적극적으로 조치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도는 오는 23일까지 평가 결과에 대한 이의신청을 받는 한편 사업비 등을 조정한 수정 사업계획서를 4월 말까지 제출받아 5월 중 각 대학과 협약할 예정이다
kw@yna.co.kr
<연합뉴스>